세네갈은 연간 90만~100만 톤의 쌀을 수입
여전히 국내 수요의 25~30%만 충족 시킬 수 있어

세네갈은 쌀 수입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상승세이며, 베트남은 세네갈의 주요 쌀 공급원 중 하나이지만 베트남으로의 쌀에 대한 수출은 여전히 제한적이라고 베트남 플러스가 15일 보도했다.
알제리와 세네갈 주재 베트남 상무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베트남의 세네갈 쌀 수출량은 1만2000톤에 달하며, 2022년 대비 215% 증가한 535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베트남의 세네갈 쌀 수출이 급격히 증가했지만 여전히 세네갈 국내의 높은 수요보다 낮은 수치다.
또한 세네갈은 연간 90만~100만 톤의 쌀을 수입하는 대규모 쌀 판매 시장으로 주로 저렴한 분쇄형 쌀이라고 밝혔다.
2023년 세네갈의 쌀 수입량과 수입액은 각각 130만 톤과 5억 달러를 넘어 전년 대비 거의 12.4%와 1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네갈의 주요 쌀 공급지 국가별로는 인도, 태국, 중국, 파키스탄, 우루과이 및 베트남이다.
세네갈 정부는 식량 자급률을 보장하기 위해 수년 동안 쌀 개발 정책을 시행해 왔지만 여전히 국내 수요의 25~30%만 충족 시킬 수 있다고 전했다.
공급부족과 세네갈의 2024년 대선 준비 상황으로 인해 세네갈이 아시아 국가로부터 찹쌀을 수입할 가능성도 있다.
올해 2월 세계무역기구(WTO) 농업 세미나에서 세네갈 무역부 장관은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과 함께 캄보디아로부터 쌀을 수입할 준비를 했다.
관련기사
- [월드e] 인도, 몽골과 구리 부문 협력 희망 표명
- [월드e] 몽골, 올 첫 두달 수출 0.4% 감소
- OPEC,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중국·인도·미국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 [비전 인사이트] '인공지능 시대'의 최강자가 된 엔비디아, "협업 관계 구축과 신제품 출시 간격" 덕분
- 동아시아미래재단, 염재호 태재대 총장 초청 특별강연 예정
- 필리핀 식약청(FDA), 대중에게 가짜 Valium 주의
- 말레이시아 항공위원회 6월 1일부터 모든 항공편 승객 서비스 요금(PSC)부과
- CBRE, "베트남 부동산 시장 비교적 큰 매력 보여준다"
- 캄보디아, 앙코르 국제공항 취항... 초기에는 연 700만명 여객 수송 가능
- 캄보디아, 프놈펜과 바다를 연결하는 180km 대운하 건설
- 태국, 캄보디아와 손잡고 국경지역 초미세먼지 문제 해결
- 세네갈 대선 무기한 연기 선언... 정치적 혼란 발생 가능성
- 러 외무장관, "30개국 가까이 브릭스 가입 희망"
- 러, 아프리카로 '새로운 피벗' 찾아... 영향력 한계
- 아프리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점차 중시 받아
- 태국, 올해 베트남을 제치고 세계 제2의 쌀 수출국이 될 것
- [기고] 프랑스와 모로코 격돌: '월드컵 2연패 달성' VS '승리의 복수전’
- 바이든, 담주 미국-아프리카 정상회의 개최... 아프리카 연합 G20 영구 회원 지지 선언
- [비전ON] 이어지는 글로벌 오일 쇼크에 개발도상국 몸살
- 아프리카, 푸틴에게 식량난 악화 호소... "러시아-우크라 충돌 피해자"
- [월드e] 숄츠 독일 총리, 에너지 공급 해결 위하여 세네갈 순방
- EU,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 낮추고...아프리카로 공급원 전환
- WHO, 아프리카 6개국 mRNA 백신 기술 지원...현지 생산으로 "백신 공급 가속화"
- 아프리카 입지 확대하는 무디스…신용평가기관 GCR 지분 인수
- 아프리카, 유통기한 지난 백신 다량 폐기...유통기한 짧고 국민들이 접종 주저
- 혜성같이 나타난 틱톡 인기 스타 '카바네 레임'
- 202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편성 결과 발표
- 북아프리카 지역, 가장 많은 코로나19 피해 입어
- 국제노동기구(ILO), "코로나19 영향으로 여성 실업률 더 높아"
- 터키항공, 아프리카 서부 '반줄' 취항
- 캄보디아, 2025년 예산 통과… 경제 성장률 6.3% 전망
- 태국과 캄보디아,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WTO, "2023년 세계 무역 증가율은 종전 전망치를 크게 밑돌 것"
- 캄보디아-베트남의 관광협력 ‘캄보디아 나이트’개최
- 베트남, 2024년 쌀 수출 호조… 수출량·수출액 모두 증가
- [Inside] 인도산 쌀 가격 상승… 식량 인플레이션 우려 격상
- 전 세계 에너지 및 식량위기, 보험업계 재편 불가피
강범수 기자
kbs@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