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왕립 정부가 2025년 재정 예산을 최종 통과시키며 내년도 정부 지출을 약 93억4400만 달러로 책정했다. 이는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18.14%에 해당하며, 캄보디아 경제 성장률이 6.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훈마네 캄보디아 총리가 주재한 각료회의에서 승인된 이번 예산안에 따르면, 2025년 캄보디아 GDP는 약 513억9800만 달러에 도달하고, 1인당 GDP는 2429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왕립 정부는 산업(8.6% 성장), 서비스(5.6% 성장), 농업(1.1% 성장) 등 주요 기간산업 지원을 통해 인플레이션을 2.5%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계획이다.
이번 예산안은 캄보디아의 중기 공공재정 프레임워크를 바탕으로 세워졌으며, 최근 경제 성과를 이어가는 동시에 추가적인 발전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 부처의 수요와 정부의 우선목표를 반영하여, 각 분야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투자와 공공 서비스 개선을 도모한다.
캄보디아 왕립 정부는 특히 농업 투자를 촉진하고, 디지털 경제 전환을 위해 필요한 기술 파악과 공공 서비스 품질 향상에 집중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산업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디지털 경제 기반을 마련해, 국가 경제 성장을 지속적으로 견인할 계획이다.
이번 예산안은 캄보디아 경제가 올해 6.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전망을 바탕으로 제시됐다. 2024년 1인당 소득이 2071달러로 전년 대비 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캄보디아 정부는 내년에도 안정적인 성장과 생활 수준 향상을 기대하고 있다.
캄보디아 왕립 정부는 이번 예산 통과가 국가 경제 회복과 성장을 뒷받침하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탄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싱가포르, 글로벌 핀테크 네트워크(GFTN) 출범으로 핀테크 허브 위상 강화
- 미국 주식, 사상 최고 '버핏지수' 기록... 글로벌 수익성과 경제 불균형의 신호?
- 2024년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화웨이와 비보 약진… 애플은 소폭 하락
- 중국의 경제 성장 저해 "3대 리스크"
- 인도네시아 무역 흑자, 52개월 연속 증가
- 태국, 정년 65세로 상향 조정 추진
- [기고] 해외에서 우리국민의 일탈은 국격을 손상시켜, '민간외교관' 자세 견지 중요
- 유엔, 전 세계적으로 1억 2200만 명 이상 '기아 직면'
- 2024년 9월 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투자 감소 추세
- 동남아에 설립한 중국 태양광 모듈 '공장 폐쇄' 가속
- 태국 새 정부, 카지노 합법화를 계속 추진
- 태국, 동남아 각국과 '적극적인 경제 관계' 추진
- 베트남, 쌀 수입에 약 7억 달러 지출
- 일본, 2040년까지 100만 명의 외국인 노동력 부족에 직면할 것
- 필리핀, 쌀 수입세 15% 인하
- 미국,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 관세 부과 재개
- 기록적인 폭염, 동남아 경제 강타
- 태국, 언론 자유 지수 동남아시아 순위 중하위권 수준
- 캄보디아, 프놈펜과 바다를 연결하는 180km 대운하 건설
- 스포츠닥터스, ‘근육이 연금보다 강하다 캠페인’ 성료. (국내외 의료지원 6031회)
- 베트남 성장률, 아시아 6위
- 세계은행 보고서, 아·태 지역 경제 성장재 둔화 전망
- [월드e] 필리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행복한 나라로 선정
- 베트남 쌀, 세네갈 수출 잠재력 커... 하지만 여전히 수출량은 제한적
- 경북농민축산, 농업회사법인 설립
- 캄보디아 더충 국제공항, 개통 임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