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인플레이션, 억제 조치 일환
새 세율은 8월 초 도입될 예정
베트남은 필리핀 쌀 수입의 80% 이상을 차지

필리핀 주재 베트남 대사관 경제상무처는 20일 마르코스 대통령이 쌀에 붙는 관세를 35%에서 15%(2028년까지 유효기간)로 줄이는 내용의 행정명령 62호를 발동했다고 밝혔다.
이는 필리핀 정부가 국내 인플레이션, 특히 쌀값이 연초 이후 최근까지 계속 오르고 있는 데 따른 최근 움직임으로 보인다.
행정명령 제62호는 공포한 날부터 30일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쌀 수입세 신세율은 행정령이 공포된 날부터 15일이 지나면 발효된다.새 세율은 8월 초 도입될 예정이다.
필리핀 주재 베트남 대사관 경제상무처에 따르면 베트남은 여전히 필리핀의 최대 쌀 수출 파트너다.
1월 1일부터 5월 23일까지 베트남 쌀의 필리핀 수출량은 144만 톤으로 필리핀 쌀 수입량의 72.9%를 차지했다.
태국은 필리핀에서 두 번째로 큰 쌀 수출국이 되어 30만 200톤을 넘었고 파키스탄, 미얀마, 인도, 중국, 일본, 캄보디아, 이탈리아, 스페인이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필리핀의 쌀 수입량은 360만 톤으로 전년 대비 5.9%(382만 톤) 감소했다.그러나 2024년 필리핀의 쌀 수입량은 400만 톤에 달할 것이다.
일부 베트남 기업의 정보에 따르면 베트남 ĐT8 및 5451 쌀은 필리핀 시장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현재 베트남 쌀은 메트로 마닐라 지역과 남부 지방을 차지하고 있다.베트남 쌀 수출기업이 올 하반기에 맞는 기회다.
최근 몇 년 동안 베트남은 필리핀 쌀 수입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필리핀의 최대 쌀 수출 파트너였다.
필리핀 농무부 식물국의 최신 통계에 따르면 올해 초부터 5월 23일까지 필리핀의 쌀 수입량은 2023년 5월보다 20.3% 증가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넷마블 '블레이드 & 소울 레볼루션', 신규 서버 ‘버닝월드’ 등 업데이트 실시
- 中, 국내 新소비진작책 발표
- 경기콘텐츠진흥원, ‘2024년 XR 최신기술동향 세미나’ 개최... 글로벌 빅테크의 최신 AI 전략은?
- 이란, 러시아 무역 결제 시 역외 및 디지털 리알 도입
- 멕시코, 매년 2만 자루의 총 불법 반입
- 프랑스 쇠고기, 23년만에 한국 수출 재개
- 스페인 경제 성장,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강해
- 필리핀 대통령실, 해외 관광객 유치 위한 획기적 방안 제안
- 태국 쌀값 17년 만에 최고치
- 태국, 엘니뇨 현상과 인도의 쌀 수출 제한령 여파로 올 2분기 쌀값 인상 전망
- 캄보디아, 2025년 예산 통과… 경제 성장률 6.3% 전망
- 태국으로 확장하는 미얀마 기업들, 이유는?
- 2024년 미얀마 한식문화축제 개최
- 베트남 쌀값 상승, 아시아 수출 시장 선두 유지
- 필리핀 쌀 관세 징수액, 역대 최고치인 약 7400억원 기록
-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에서 사업환경 개선 약속
- 파키스탄-방글라데시 첫 직항 화물선, 외교 관계 변화의 신호탄
- 태국과 캄보디아,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필리핀, 인플레이션율 3개월 만에 둔화... 금리 인상 '압력 완화'
- 캄보디아-베트남의 관광협력 ‘캄보디아 나이트’개최
- [월드e] 필리핀, 세계 최대 쌀 수입국으로 부상
- 필리핀 마르코스 대통령, 한국과의 자유무역 관련 행정명령 발표
- ‘미국 공식 언어는 영어’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에 서명
-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가상자산 전략비축, ‘준비 자산’까지 될까?
- 캄보디아 더충 국제공항, 개통 임박
- 베트남 쌀 수출 가격 하락…1분기 수출량 소폭 증가, 수출액은 19.7% 감소
- 일본, 쌀값 급등에 외식·식품업계 '탈쌀' 가속…라면·우동 소비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