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이더리움, 솔라나, 리플, 카르다노 5종
준비자산에 비해 전략비축이 절차 쉬워

지난 3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5개의 코인을 전략 비축하겠다고 밝히자, 전 세계 가상 자산 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 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리플(XRP)과 솔라나(SOL), ADA(에이다)를 포함하는 가상 자산 전략 비축을 추진하도록 지시했다.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다른 가치 있는 가상 자산도 비축에 핵심이 될 것”이라고 작성했다.
그러자 지난 2월 28일 7만8000달러 선까지 추락했던 비트코인은 이날 94,000달러 선으로 수직 상승했고, 이더리움도 하루 전보다 13% 오른 2,500달러까지 급등했다.
미국 가상 자산 자산관리업체인 21쉐어즈의 페데리코 브로케이트 책임자는 “미국 정부의 가상 자산 경제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다”라고 분석했다.
이번 발언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것은 ‘비축’(Reserve)이라는 단어를 트럼프 대통령이 사용했기 때문이다.
미국 CNBC는 ‘비축’은 정기적으로 코인을 사들이는 의미, ‘보유’와 ‘축적’은 미국 정부가 보유한 코인을 판매하지 않는다는 의미라고 구분했다.
이러한 점은 가상자산이 ‘전략 비축’(Strategic Reserves)의 범주에 들어간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략 비축은 미국 정부가 평시에 비축하는 물자로 원유・백신・희토류가 전략비축 품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전략비축과 함께 언급되는 게 ‘준비자산’(Reserve Asset)이라는 것으로 각국 중앙은행이 대외결제를 위해 보유하는 자산으로 달러를 포함한 기축통화, 금,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등으로 구성된다.
준비자산의 증감은 여러 대외거래에 따른 결과로 통화 당국이 가지고 있는 공적지급준비자산의 변화를 의미한다.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전략 비축 가상자산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솔라나(SOL) ▲카르다노(ADA)다.
취임 직후 가상자산과 관련된 언급을 거의 하지 않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략 비축’을 들고 온 것에 대해 미국 부채 해결을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비트코인이 원유나 곡물처럼 당장 미국에 필수적인 자원이 아니란 점을 고려하면 부채 해결을 위해 들고왔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코인 전략 비축 구상을 실현하려면 관련법 개정이 필요하다.
미국은 1973년 오일쇼크 후 관련 법을 제정해 1977년부터 원유를 비축한 경험이 있다.
희토류도 ‘전략・중요 자원 보유법’을 통해 전략 자산으로 지정했다.
지난 2024년 미국 공화당의 신시아 루미스 미 상원의원(와이오밍)은 향후 5년간 미국이 매년 20만개의 비트코인을 사들이는 ‘비트코인 2024 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준비 자산으로 보유한 7,000억 달러 어치의 금(金) 일부를 비트코인으로 바꾸도록 하고 있지만, 해당 법안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반대로 무산됐다.
하지만 코인을 연준 준비 자산으로 보유하는 게 아니라 전략 비축을 한다면 연준의 동의가 필요 없다.
특히 현재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속한 공화당이 상・하원을 장악한 점을 고려하면 실현 가능성이 크다.
관련기사
- ‘미국 공식 언어는 영어’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에 서명
- 필리핀 마르코스 대통령, 한국과의 자유무역 관련 행정명령 발표
- 바이든, 일본제철의 미 철강사 인수 건 막는다
- 필리핀, 쌀 수입세 15% 인하
- 미, 러시아 금융 제재 강화…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 [월드e]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쌀 가격을 킬로당 45페소로 상한
- 필리핀, 3륜 전기차에 대한 무관세 검토
- 美 반도체 고위층들, 백악관 고위관료 만나... 대중 수출규제 완화 논의
- 미 연방수사국(FBI) 국장 "틱톡이 국가 안보 우려를 제기한다"고 언급
- 바이든 행정부, 아시아 국가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 낮추는 노력 강화
- 광복절 집회 연 민주노총·블랙시위대, 코로나 빗겨갔나?
- ‘백신접종 비용 모더나vs화이자’,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나”
- 밤바다에서 음주? 형사처벌 받을 수도
- '코인노래방'은 NO! '일반노래방'은 YES?...노래방 '북적'
- 코로나19 , 이번에는 '이태원 클럽' 공격하나...20대 확진자 방문
- 부활절·총선 등 '빅이벤트'에 정부 긴장...사회적 거리두기, 언제까지?
- 박원순, 전광훈 사랑제일교회에 "예배 강행시 신자에 벌금 300만원"
- 화웨이, 미 연방통신위 소송 제기...화웨이의 난
- 브로드컴, 퀄컴 인수 포기..."미국의 행정명령 따르겠다"
- 미국, 한국 등 12개국 철강 제품에 53% 관세 부과 추진...업계 '패닉'
- 미래 첨단 기술 글로벌 리더 미국...정부 차원 스마트시티 구축은 지지부진
- [이슈 분석] 완전자율주행 시대 여는 ‘웨이모’...법적·안전성 문제는 어떻게?
- [디지털 경제 시대의 보안③] 세계 각국, 디지털 보안 관련 '입법 체계 구축'
- 美 정부의 드론 규제 완화...상업용 드론 성장에 박차 가할 듯
- 산업부, 철강 통상현안 대응 TF회의 개최... 미 상무부 이달 발표이후 새로운 제재 대응에 '부심'
- 촛불을 들었지만 하락할줄 모르는 실업률 비정규직 비율... 이어지는 '장미파업'
- 트럼프, 한국 등 16개국 무역적자 실태 집중조사 실시명령...한미FTA 개정 요구 가능성도 고조
- 트럼프, 금융규제 완화 행정명령 서명...도드-프랭크법 개정 재검토
-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에 애플 소송 검토... 親 트럼프 골드만삭스도 반대
- 미국, 43개국 대상 비자 제한 검토
- 비트코인서울 2025에서 가상자산 채택한 상장기업을 만난다
- 미중 런던 무역 협상, 희토류와 AI 칩 수출 통제로 난항 계속
- 비트코인, 사상 첫 12만 달러 돌파…정책 호재 기대감에 시장 ‘들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