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퍼업계는 중국에 대한 새로운 수출규제를 완화할 것을 설득 노력 중

미 국무부와 소식통은 로이터통신에 "미국의 전 웨이퍼 업체 수장이 월요일(7월 17일) 바이든 행정부 관리들과 만나 대중국 정책을 논의하고, 중국에 대한 추가 수출 규제를 포기하도록 설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뮬러 국무부 대변인은 블링컨 국무장관이 월요일 미국 웨이퍼 관리들과 만난 것은 웨이퍼 산업과 공급망 문제에 대한 그의 견해를 공유하고 공급망에 대한 웨이퍼 업계의 견해와 중국에서의 발전을 듣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블링컨 국무부 장관은 이달 초 베이징을 방문했다.
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 참석한 백악관 고위 당국자는 레먼도 상무장관, 브래드 설리번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 등이었으며 웨이퍼업계 임원들은 중국에 대한 새로운 수출규제를 완화할 것을 설득하고 싶어 했다.
한편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인텔, 엔비디아, 퀄컴 회장은 모두 웨이퍼와 반도체 제조설비의 대중국 수출규제에 반대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들 임원은 정부의 모든 움직임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는 않지만 기회의 창이 열리고 있음을 느끼고 이를 통해 미·중 분쟁이 격화돼 백악관이 현재 하고 있는 외교적 노력을 해칠 것이라는 믿음을 바이든 팀을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 회사는 최대 시장인 중국과의 관계를 끊는 것은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능력을 훼손하고 궁극적으로 미국의 선도적 지위에까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엔비디아와 퀄컴은 보도에 대해 논평하지 않았고 인텔과 백악관은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10월 발표한 중국 웨이퍼 수출 규제 조치를 갱신하고, 대외 투자를 일부 제한하는 새로운 행정명령을 만드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국반도체산업협회(SIA)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반도체 구매액은 1800억 달러(약 2379억 달러)로 전 세계 5559억 달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단일 시장 최대 규모다.
관련기사
- [월드e] 몽골 군대, 세계 145개국 중 99위...공군력은 125위
- [월드e] 올해 현재까지 몽골을 찾은 관광객은 29만2540 명
- 국제에너지기구, "전 세계 리튬 수요가 5년 동안 두 배로 증가"
- 일본, 사우디-UAE 탈탄소 기술협력
- 中 전기차 업체, 유럽에서 적극 판매 공세
- 러,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시행 중단... 곡물값 인상 우려
- 바이든 정부, 2030년까지 미국 전력부문의 80%를 '탈탄소화'
- 국표원, 반도체 국제표준 39건 추진…‘초격차 기술 확보 지원’
- 다우지수가 200포인트 가까이 상승
- KBS1 라디오 K-방산 심층진단, 최기일 상지대 교수 출연
- [비전 인사이트] 트럼프 '대중견제'강화 정책에 대비해야!
- 일본 정부, 고물가 대응 종합경제대책 확정… 반도체·AI 투자 및 저소득층 지원 포함
- [기고] “친중(親中)”머스크는 왜 “반중(反中)”트럼프의 치어리더가 되었을까?
- 베트남, AI와 반도체 산업 육성에 박차
- 일본, 반도체·AI 산업에 10조 엔 투자 계획 발표
- 美,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에 16억 달러 투자
- 인공지능 열풍 '원전 르네상스'
- [비전 인사이트] 한국 반도체 대기업, 인도로 공장 진출 꺼린다
-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 개발도상국 성장 전망 상향 조정
- 반도체 대기업, 중동에 '슈퍼팩토리' 설립 추진
- 반도체 옛 강자 인텔 인수하려는 퀄컴
- 반도체 옛 강자 인텔 인수하려는 퀄컴
- 세븐일레븐 모기업, 부엉이식품 인수제안 거부
- 세븐일레븐 모기업, 부엉이식품 인수제안 거부
- [비전 인사이트] 여야 모두 정치프레임으로 경제상황을 보지 말아야
- [비전 인사이트] 여야 모두 정치프레임으로 경제상황을 보지 말아야
- 네덜란드 총리, “반도체 장비의 대중국 수출은 ASML의 경제적 이익을 고려”
-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비전 인사이트]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비전 인사이트]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비전 인사이트] 국익과 대외정책에는 '한목소리' 내는 미국을 주시
- [비전 인사이트] 국익과 대외정책에는 '한목소리' 내는 미국을 주시
- ‘미국 공식 언어는 영어’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에 서명
-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가상자산 전략비축, ‘준비 자산’까지 될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