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키스탄에서 방글라데시로 첫 직항 화물선이 도착하며 양국 간 외교 및 경제 관계의 변화를 상징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1971년 방글라데시 독립 이후 처음으로 파키스탄 화물이 동남부 치타공항에 직항으로 도착한 것은 양국 간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19일 힌두교도 인터넷 홈페이지가 보도했다.
치타공항 관계자는 "카라치에서 직접 온 첫 화물선"이라며 "이 배는 주로 방글라데시의 섬유 및 도자기 산업에 필요한 원자재를 싣고 왔다"고 전했다. 이 화물선은 UAE에서 출발해 카라치를 거쳐 방글라데시에 화물을 내린 후 인도네시아로 향할 예정이다.
이번 화물선 도착은 방글라데시 임시정부가 무함마드 유누스 총리를 중심으로 추진 중인 외교 정책 전환의 결과물로 분석된다. 동파키스탄이 1971년 전쟁을 통해 파키스탄으로부터 독립한 이후 양국 간 직접적인 교역은 단절된 상태였으며, 파키스탄의 화물은 주로 스리랑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 제3국을 경유해 방글라데시에 도착하곤 했다.
13일 치타공항에 도착한 이번 화물선은 지역 간 무역 네트워크 강화의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로 평가된다. 방글라데시 주재 파키스탄 고등판무관 사이드 아흐마드 마루프는 "이번 직항은 양국 간 무역 관계를 강화하고 지역 무역 네트워크를 더욱 통합하기 위한 중요한 한 걸음"이라고 밝혔다.
이 같은 변화는 양국 간 오랜 갈등과 거리감을 극복하고 상호 이익을 추구하는 새로운 경제 협력 모델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향후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 간 교역 및 외교 관계의 발전 여부에 국제적 관심이 쏠리고 있다.
관련기사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인상 예고에 일본 자동차 업계 초긴장
- [비전 인사이트] 나라살림 17년째 마이너스… '돈쓰기'만 몰두하는 정치권과 관련 시민사회단체들도 미온적
- 필리핀 쌀 관세 징수액, 역대 최고치인 약 7400억원 기록
- 엔비디아, AI 수요 호조로 매출 두 배 가까이 증가
- 탈레반 정부, 아프가니스탄 진열대에서 '비이슬람' 도서 정리
- 픽쇼코리아 신우훈 대표, 대구 대표 기업인으로 우뚝
- WHO, 결핵으로 인해 2023년에 약 120만명 사망
- 필리핀, ICTSI 항만 운영 수익 14% 증가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태국, 인도의 쌀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에 긴장… 치열해지는 글로벌 쌀 시장 경쟁
- 파키스탄, 기준금리 250bp 인하…경제 회복 위한 대규모 정책 변화
- 짐바브웨 부교수, 브릭스 신개발은행의 유연한 대출 조건 강조
- 베트남, 외국의 방직 의류 기업의 투자처 되어
- 인도, 남아시아 인접국과 에너지 협력 강화
- 러 부총리, 파키스탄 브릭스 가입 환영
- 인도, 쌀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
- 인도의 고대 전통의학, 아유르베다(Ayurveda)
- 인도, 2027년 세계 3위의 경제대국 부상
- 방글라데시 휘청, 글로벌 패션산업 체인 강타
- 하시나는 몰락한 후 인도로 피신, 방글라데시인들 사이에서 힌두교도에 대한 반감 격화
- 모로코, 기후 변화로 가뭄에 시달려... "식량 공급을 위협"
- 태국, 세계 제2위의 쌀 수출국 지위를 유지
- 세계 20대 수도 폭염 일수 배로
- 필리핀, 쌀 수입세 15% 인하
- 이집트, 브릭스 신개발은행 국제포럼 첫 개최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 손잡고 아세안 반도체 허브 도약 선언
- 인도네시아,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42% 목표…에너지 전환 가속화
- 말레이시아,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보다 높을 것... 6%대 전망
- 방글라데시, '디지털 및 기술 발전'의 도약 시도
- 말레이시아, 'NIM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 도약 목표
- 스리랑카 새 정부, 아시아에서 가장 깨끗한 나라로 만든다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유신자유경제구역 설립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