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의료기술 허브로의 도약
의료기술 산업 성장과 수출 확대

말레이시아 정부가 '2030년 신산업 마스터플랜(NIMP 2030)'을 통해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투자무역산업부(MITI)의 자프룰 압둘 아지즈 장관은 국제의료기기전시회 연설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산업 개혁을 통해 말레이시아가 의료기술의 중심지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NIMP 2030은 말레이시아를 보건 기술의 중심지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를 통해 국민의 건강 보호, 아세안 지역의 경제 성장 촉진, 글로벌 보건 당국 및 헬스케어 산업 지원을 실현하고자 한다. 자프룰 장관은 "올바른 정책적 지원 덕분에 말레이시아의 의료기술 산업이 디지털 의료와 의료 로봇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고 있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는 현재 200여 개의 의료기기 제조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30개는 글로벌 브랜드를 보유한 다국적 기업으로 구성돼 있다. 2023년 말레이시아의 의료기기 수출액은 약 63억 7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올해 1월부터 9월까지의 수출액은 61억 5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0% 증가했다. 이는 말레이시아 의료기술 산업의 경쟁력을 입증하는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MITI는 의료기술 산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의료 로봇 등을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디지털 의료 및 첨단 의료기술 분야에서의 혁신을 촉진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말레이시아의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는 NIMP 2030을 중심으로 의료기술 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혁신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정부는 국내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고, 의료기술 산업의 디지털화를 촉진하며, 아세안 지역의 의료기술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자프룰 장관은 "말레이시아는 글로벌 의료기술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준비가 되어 있다"며, "NIMP 2030을 통해 의료기술 산업이 국가 경제 성장과 국민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말레이시아의 의료기술 산업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도약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 베트남-인도 경제무역 협력, 2024년 새로운 도약 기대
- 도쿄도, 주 4일 근무제 도입으로 저출산 문제 해결 나선다
- 쌍방울 그룹 비투엔, 이수정 교수·강신업 변호사 고소... "허위사실 유포 혐의"
- 2024 희망나눔콘서트, 나눔과 희망이 어울어진 감동의 축제
- 보스턴컨설팅그룹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 발표…한국은 AI안정적 경쟁국가로 분류
- 영국,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공식 가입…포스트 브렉시트 최대 무역합의
- 브릭스, 2024년 세계 경제 성장의 핵심 주자로 부상
- 전 세계 식품 가격 급등… 식용유가 주도
- 트럼프 당선인, 브릭스에 강력 경고… “달러 대체 시 100% 관세 부과”
- 미국, 동남아산 태양광 수입품에 최대 271% 관세 부과… 불공정 무역 대응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 손잡고 아세안 반도체 허브 도약 선언
- 베트남-말레이시아, 재생에너지 및 할랄 산업 협력 강화
- 필리핀 청년, 36%만이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 만족
- 마이크로소프트, MS 365에 ‘코파일럿 프로’ 기능 번들로 제공
- 태국,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경제 도약 준비… 2030년 GDP 6% 성장 전망
- 파키스탄-방글라데시 첫 직항 화물선, 외교 관계 변화의 신호탄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의 협력 통해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도약 추진
- 베트남 디지털 경제, 2024년 두 자릿수 성장 지속
- 태국 관광 회복세…올해 10월까지 2900만 명 넘는 관광객 유치
- LG전자 베트남 R&D거점, 전장SW 개발에서 가전과 웹OS까지 역할 확장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비전 인사이트] '브릭스 정상회의'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중국-아세안 교역, 올해 9.4% 증가…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자리잡은 아세안
- 아세안 디지털 장관 회의, 사이버 보안과 디지털 협력 강화 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