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방콕에서 열린 제5차 아세안 디지털 장관 회의에서 아세안 회원국 대표들이 네트워크 사기와 콜센터 사기를 해결하기 위한 긴급한 협력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안전, 혁신, 포용: 아세안 디지털 미래 조성"을 주제로 1월 16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이번 회의는 안전한 디지털 환경 구축에 대한 아세안의 약속을 재확인하는 자리였다.
태국 부총리 겸 디지털 사회기술부 장관 프라저트 잔타랄롱은 회의에서 아세안 국가들이 네트워크 보안, 국경 간 데이터 교환, 디지털 경제 공동 발전 등을 포함한 협력 프레임워크를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논의가 지역 내 디지털 환경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사이버 범죄 예방과 해결을 위한 협력 지침 문서인 《방콕 성명》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이는 아세안 회원국 간의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또한, 중국, 일본, 한국, 인도, 미국,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주요 파트너 국가와 기관들도 디지털 표준과 기술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협상에 참여했다.
태국은 이번 회의에서 캄보디아와 필리핀과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디지털 협력을 확대했다. 캄보디아와의 협약은 디지털 플랫폼 서비스, 디지털 기술 접근성,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사기 방지 등에서의 협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필리핀과의 협약은 디지털 인프라, 전자 정부 거버넌스,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등 신기술 개발 및 투자 촉진을 목표로 한다. 또한, 사이버 보안 강화를 위해 지식 교류와 공동 교육도 포함됐다.
프라저트 장관은 미얀마 대표들이 태국과 협력하여 국제 콜센터 사기를 단속하기로 약속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는 아세안 국가 간뿐만 아니라 국제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지역 내 디지털 생태계를 더욱 안전하고 포용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
제6차 아세안 디지털 장관 회의는 내년에 베트남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사항들이 실제로 어떻게 실행되고 발전할지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관련기사
- 태국, 유럽자유무역협회와 자유무역협정 서명
- 반복되는 파산, 미국 소매업계의 그림자
- 경영지도사회 대구경북지회, 16대 지회장으로 ‘박창기 박사’ 선임
- 말레이시아, 'NIM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 도약 목표
- 싱가포르 벤처 투자 시장, 2024년 거래 감소에도 활발한 활동 지속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 국가 목표…국제 과학 심포지엄에서 논의
- 말레이시아 총리, 아세안-일본·한 정상회의에서 디지털 협력 및 평화 이니셔티브 강조
- 중국, 베트남 농산물 제1의 수출 시장
- 아세안, 지역의 지불 시스템을 통합 노럭
- 베트남 총리 초청 ‘한국-베트남 관광 활성화 및 문화협력 포럼’ 성료
- 인도, 전 세계에서 역할과 관계 확대 노력
- 다비수디지털, 영재 수학비법 "베트남 진출 시동" 걸다
- 태국, 새로운 국가 인공 지능 위원회를 설립할 계획
- HSBC 전문가 "베트남, 디지털경제 성장속도가 아세안 앞섰다"
- 뉴질랜드, 태국-필리핀 관계 격상
- HSBC, 동남아 디지털 플랫폼 지원에 10억 달러 아세안 성장펀드 조성 추진
- 라오스 디지털 기술 주간 행사 개최, 디지털 기술 제품과 서비스 강화 보급에 중점 둬
- 동남아 디지털 결제 시장, 펜데믹으로 인해 "급속한 발전 이뤄"
- 중국, '제3차 일대일로 국제협력 정상포럼' 17~18일 베이징 개최
- 베트남-일본: 경제협력 사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한 조정
- 베트남 ASEAN의 성장 촉진 위해 이니셔티브 제안 예정
- 쌍방울, 김성태 전 회장 이화영 전 부지사 배임액 대신 변제…”처벌불원서 제출할 것”
- 태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 통화 정책과 암호화폐에 대한 신중한 접근
- 베트남-미국 무역액 110억 달러 돌파
- 태국, 온라인 사기 피해 심각… 1,800만 명 피해
- 필리핀, 미국 3개 주 가금류 제품 수입 일시 중단
- 아세안, 2045 비전 준비… 2030년까지 세계 4대 경제 대국 목표
- 캄보디아 더충 국제공항, 개통 임박
- 태국, 대미 무역 흑자 축소 위해 미국산 수입 확대 추진
- 필리핀 마닐라 남부 지역 범죄율 22% 감소
- 필리핀 물류 산업, 3개월 만에 11% 성장
- 인도, 일본 제치고 세계 4위 경제 대국으로 도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