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투자 및 협력 강화 필요

베트남 통계총국이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월 베트남과 미국 간의 수출입 금액은 11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중 수출 금액은 98억 달러, 수입액은 13억 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대미 무역흑자는 8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 전문가들은 미국이 베트남 기업들에게 중요한 수출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베트남은 세계적인 기술 발전에 발맞추기 위해 미국으로부터 첨단 기술 투자 자금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이는 베트남의 디지털 전환 및 경제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주목할 점은 베트남이 현재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국 기업들은 베트남 경제 발전을 지원하며 디지털 혁신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베트남 주미 상무 대표는 국내 기업들이 미국 시장으로의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미국의 수입업자 및 유통업자와 긴밀히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연한 결제 방식을 연구하고 구축하며, 위험을 분산하는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농산물 및 식품 수출의 경우, 베트남 기업들은 공동 투자 방식으로 냉동창고를 건설하고, 주요 항구에 대규모 유통 센터를 설립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통해 물류 비용을 절감하고, 시장 진입의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베트남과 미국 간의 무역 상황을 살펴보면, 양국 간 무역액은 1,320억 달러를 초과했다. 베트남의 대미 수출은 약 1,190억 달러로 전년 대비 23.3%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130억 달러로 7.3%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신발, 목재 제품, 기계 및 광학 기기 등이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베트남이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지속적인 협력과 기술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베트남 기업들이 변화하는 글로벌 시장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을 당부했다.
관련기사
- 태국 유제품 수출 11.5% 급증… 글로벌 시장 확장 가속화
- 금값, 사상 최고치 경신… 2025년에도 강세 지속 전망
- [기고] 인생 성공 요건: 조바심 내지 않고 5개의 공놀이 지속
- 차이나 블링원, 쇼케이스 행사... '공개 활동' 개시
- 지도자의 근간... "자솔이정(子帥以正) 집감부정(孰敢不正) "
- 베트남 기업들, 국제 무역 변화에 적극 대응
- 트레져헌터, 일본 인플루언서 시장으로 진출해 글로벌 MCN 사업자 도약 노린다.
- 베트남, 2025년 과일 및 채소 수출 목표 80억 달러 설정
- 아세안 디지털 장관 회의, 사이버 보안과 디지털 협력 강화 논의
- 베트남, 미국과의 무역 협력 강화로 글로벌 공급망 핵심으로 부상
- 태국, 쌀 수출 허가 절차 대폭 간소화
- UOB, 베트남 2025년 GDP 성장률 전망 6.6→7%로 상향 조정
- 베트남,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허브로 부상
- 베트남, 농림수산물 수출 역대 최고치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 공략 가속화
- 아시아 기후변화 영향으로 사상자 수 '쓰나미 참사' 후 역대 최다
- 코코아 콩값 급등 식량위기 경고
- 베트남 새우 수출, 2024년 40억 달러 전망…산업 회복세 뚜렷
- 브릭스, 2024년 세계 경제 성장의 핵심 주자로 부상
- 베트남 2024년 11월 수출입 총액 감소, 연간 증가세 유지
- 베트남 과일 가공품, 국제 시장에서 인기 급상승
- 베트남 수산물 수출, 2024년 100억 달러 목표 달성 전망
- 베트남, 글로벌 부동산 가격 상승률 선두…5년간 59% 급등
- 미국, 동남아산 태양광 수입품에 최대 271% 관세 부과… 불공정 무역 대응
- 해외 기술유출 사례가 급증추세... 약 75%가 중국
- 베트남, 경제 전환 대대적으로 추진
- 베트남 1월 자동차 판매량 40% 감소… 2분기 회복 전망
- 베트남, 미국산 수입 제품 관세 인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