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자동차 제조업체 협회(VAMA)에 따르면, 2025년 1월 VAMA 회원사들의 자동차 판매량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판매량은 18,893대로, 전월 대비 40% 감소했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14,201대로 42% 감소했으며, 상용차는 4,354대로 33% 감소, 전용차는 338대로 40% 감소했다. 생산지별로는 국내 조립차 판매량이 9,120대로 29% 줄었고, 정품 수입차 판매량은 9,773대로 48% 급감했다.
VAMA 회원사 중에서 2025년 1월 가장 많이 판매된 자동차 브랜드는 토요타로, 3,346대가 판매되었다. 그 뒤를 포드(2,452대), 모터(2,031대), THACO KIA(1,846대), 혼다(1,826대)가 이었다.
자동차 제조업체 대표들은 1월 판매량 감소의 원인으로 연말 차량 구매 증가로 인한 연초 소비 심리 위축과 설 연휴 기간 동안의 거래 중단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베트남 자동차 시장이 2025년 2분기부터 점진적으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소비 촉진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정부의 녹색 교통수단 지원 강화에 힘입어 하반기에는 시장이 성장세를 회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관련기사
- 혼다-닛산 합병 협상 결렬… 일본 자동차업계 구조조정 난항
- 미국, 2024년 부패 감각 지수 최저치 기록
- [기고] 서울 FC 린가드 와 문선민 '몸값' 못해, "관제탑 공동 세리머니" 불발
- 필리핀, 공항 보안 검색 강화 추세
- 베트남, 경제 전환 대대적으로 추진
- 베트남, 인플레이션 억제 위한 재정 및 통화 정책 지속 시행
- 베트남, 인공지능 수요 증가로 데이터 센터 투자 급증
- 베트남 기업들, 국제 무역 변화에 적극 대응
- 베트남-미국 무역액 110억 달러 돌파
- 베트남, 1월 국제 관광객 210만 명 유치… 전년 대비 36.9% 증가
- 베트남 아파트 가격 급등… 2025년에도 상승세 지속 전망
- 베트남 2024년 경제 성장, 뚜렷한 회복세 보여
- 베트남 고무 산업, 2025년 강력한 성장 전망
- 베트남, 반도체 산업 투자로 산업 부동산 시장 가속화
- 일본 기업, 베트남 투자 확대의 원동력
- 베트남, 2025년 과일 및 채소 수출 목표 80억 달러 설정
- 베트남 항공,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25개 항공사에 선정
- 베트남, 미국과의 무역 협력 강화로 글로벌 공급망 핵심으로 부상
- UOB, 베트남 2025년 GDP 성장률 전망 6.6→7%로 상향 조정
- 중국-베트남 열차 운송, 2024년 대규모 성장
- 베트남 부동산 시장, 외국인 직접 투자로 활기
- 베트남, 지난해 GDP 7.09% 성장
- 베트남, 2024년 수출입 총액 7862억 9000만 달러… 전년 대비 15.4% 증가
- 베트남 자동차 산업, 국내 시장 충족과 해외 수출 확대로 성장 가속화
- 베트남 소기업,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낙관적인 성장 전망 보여
- 베트남, 미국산 수입 제품 관세 인하
여불휘 기자
bh.Yeo@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