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아시아 태평양 지역 소규모 기업 조사 결과가 21일 호찌민시에서 호주 회계사 협회(CPA Australia)에 의해 공식 발표되었다. 이번 조사에서 베트남 소기업은 지역 내에서 가장 뛰어난 실적과 전망을 보이며 눈에 띄는 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2024년은 베트남 소기업에게 있어 성공적인 한 해였다. 전체 응답 기업의 82%가 실적이 증가했다고 응답했으며, 이는 2023년 대비 77% 증가한 수치로 2019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이러한 성장세는 2025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며, 무려 92%의 기업이 향후 1년 내에 영업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이번 조사에 포함된 11개 시장 중 가장 높은 수치다.
경제 전망 역시 긍정적이다. 베트남 소기업의 93%가 2025년에도 국내 경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는 아태 지역 평균인 67%를 크게 상회하는 수치로, 지역 내 최고의 낙관적 전망을 보여준다.
호주 회계사 협회의 크리스 프리랜드 최고경영자(CEO)는 베트남 소기업의 성장 배경에 대해 “젊고 기술에 능숙한 공동체, 강한 창업 정신, 빠른 디지털 전환과 적응 능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특히 베트남 기업가들의 기술 수용성과 혁신적 사고방식이 경제 성장의 주된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조사에 따르면, 베트남 소기업은 기술 응용 측면에서도 아태 지역 선도적 위치를 점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활용, 소셜미디어 운영, 디지털 결제 방식 도입, IT 전문가 자문 활용 등 모든 분야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경쟁력 있는 비즈니스 환경을 구축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베트남의 중소기업들은 또한 국제 시장에 대한 진출 의지도 강하다. 조사에 따르면, 2025년에는 해외 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입이 전체 매출의 2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2024년의 15%에서 크게 증가한 수치다. 이는 베트남 중소기업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점차 경쟁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베트남은 조사 대상 국가 중 소기업의 자국 경제에 대한 신뢰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G(환경·사회·기업 지배구조) 분야에 대한 관심과 실천도 활발하다. 2025년을 기점으로, 많은 소기업들이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결합해 새로운 성장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베트남이 기술 주도형 경제로 전환해 가는 과정 속에서 소기업들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베트남의 위상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여불휘 기자 bh.Yeo@nvp.co.kr
관련기사
- 일본 속 '중국 경제권', 도쿄에서 전국으로 확산 중
- 일본, G7 중 인플레이션율 1위
- 벚꽃 흩날리는 날, 봄바람 타고 꽃섬으로
- [기고] 전북현대, '뒷심'과 '주인정신' 결여된 팀 컬러 바꿔야 반등 가능
- 비야디, 연매출 1,000억 달러 돌파
- 트럼프의 무역 정책, 글로벌 원자재 시장 흔들다
- 베트남, 세계 2위 섬유·의류 수출국으로 부상
- 인도네시아, 브릭스 신개발은행 회원국 가입 결정
- 콘텐츠 산업, 태국의 매년 13억 달러 이상을 경제에 기여
- 베트남, 뉴질랜드의 전략적 수출시장으로 부상…과일 수출 확대에 주목
- 미국행 아시아발 해상운송, 2월 기준 사상 최고
- 태국, 외국 투자 유치 지속 약속… 경제 성장 가속화
- 혼다 베트남, 2월 오토바이·자동차 판매 급증
- 아세안, 2045 비전 준비… 2030년까지 세계 4대 경제 대국 목표
- 베트남 커피 수출, 2025년 2월 8억 5,420만 달러 기록
- 베트남, 2025년 첫 두 달 대외 무역 12% 성장
- 베트남, 2025년 외국인 투자 유치 긍정적 신호
- 베트남, 2025년 GDP 성장률 목표 8%로 상향 조정
- 베트남 자동차 산업, 국내 시장 충족과 해외 수출 확대로 성장 가속화
- [비전 인사이트] 미중 갈등고조로 'ABC' 추세, "통 큰 반도체(첨단)클러스터 구축이 답"
- 베트남, 2025년 경제 성장률 8% 달성을 위한 수출 확대 전략
- 태국 유제품 수출 11.5% 급증… 아세안 및 글로벌 시장 확장 가속화
- 베트남 1월 자동차 판매량 40% 감소… 2분기 회복 전망
- 베트남, 경제 전환 대대적으로 추진
- 베트남, 인플레이션 억제 위한 재정 및 통화 정책 지속 시행
- 베트남, 미국산 수입 제품 관세 인하
- 베트남, 브릭스 파트너국으로 공식 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