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관광객 증가에 도움, 편의성 제고
인도는 올해 아세안을 주축으로 한 '동향(東向) 행동' 정책 시행 10주년을 맞아

차툴롱 부아시사바 라오스 외교부 아세안국장은 "아세안이 강대하게 발전함에 따라 인도도 아세안의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부아시사바는 ANI 기자에게 "인도는 아세안의 중요한 파트너다. 인도는 아세안을 이해하고 도와왔다.
올해 아세안은 디지털화에 대한 제안을 채택하고 이를 통과시키면 인도-아세안 관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도와 싱가포르가 실시간 결제 상호 운영 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하자 인도는 말레이시아와 다른 나라들과 협력해 이 지역의 더 많은 국가에 시스템을 배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부아시사바는 "아세안 국가들은 다양한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디지털화와 디지털 연결에 대한 인도의 제안 발표는 이 분야에서 추가적인 협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것이다.
아세안과 인도가 통합 결제 시스템을 갖추면 앱 하나로 결제할 수 있어 인도 관광객이나 인도를 찾는 관광객이 더 수월해 질 전망이다.
인도의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복귀 가능성에 대해 부아시사바는 "협정의 문은 인도에 닫혀 있지 않다"며 "인도가 이 협정의 가치를 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인도는 올해 아세안을 주축으로 한 '동향(東向) 행동' 정책 시행 10주년을 맞는다.
또한 인도는 아세안의 핵심 지위, 아세안 인도태평양비전(AOIP) 및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이 '아세안: 상호 연결과 유연성 강화'를 주제로 아세안 순번제 의장국 재임 중 우선순위와 성취에 전폭적인 지지를 재확인했다.
관련기사
- 캐나다, 유학생 대상 취업 비자 축소 추진
- 日 100년 전통 기업 부도 95% 급증... 사상 최대치를 기록
- 美 인플레이션 진정 상황 유지... 금리인하는 시기문제
- 오픈AI 가격전쟁 시작!
- 탈레반, 여학생 교육 금지로 아프간 교사들 정신적·재정적 타격
- 수단, 이란에 8년 만에 무역대사 위촉
- 라오스, 긴축 통화 정책 견지... 인플레이션 줄이려고 노력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의 협력 통해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도약 추진
- 싱가포르 벤처 투자 시장, 2024년 거래 감소에도 활발한 활동 지속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베트남, 10월 수출입액 전년 대비 11% 증가…무역 흑자 233억 달러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필리핀, 외국인 은퇴자 비자 보증금 인상 검토
-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 국가 목표…국제 과학 심포지엄에서 논의
- 중국-아세안 교역, 올해 9.4% 증가…중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로 자리잡은 아세안
- 말레이시아 총리, 아세안-일본·한 정상회의에서 디지털 협력 및 평화 이니셔티브 강조
- 2024년 9월 베트남 외국인 투자 동향... 투자 감소 추세
- 일-아세안 탈탄소 협력 강화
- 아세안-동아시아 상품교역 1조750억달러 넘어
- 인도네시아, 사람들의 전기자동차 사용 장려
- AZEC 핵심 분야 탈탄소화 추진 합의
- 중국, 베트남 농산물 제1의 수출 시장
- 말레이시아, 수출입 총액 증가세 유지
- 중국 제품, 태국 상업계로 대량 진출... 중국에 관세를 부과할 것을 요구
- 중국-싱가포르 합자 전기차 배터리 공장, 인도네시아서 개업
- 태국, 베트남의 청과물 수매 늘려... 전반기 9700만 달러에 이르러
- 라오스 정부, 투자 환경 개선... 관료주의 제거를 위해 노력
- 말레이시아,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보다 높을 것... 6%대 전망
- 인도 디지털 혁명의 희비가 공존... 디지털화가 모든 문제를 해결 해 주지 않아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유신자유경제구역 설립 합의
- 아세안 디지털 장관 회의, 사이버 보안과 디지털 협력 강화 논의
- 아세안, 2045 비전 준비… 2030년까지 세계 4대 경제 대국 목표
여불휘 기자
bh.Yeo@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