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365 구독에 기능 추가
코파일럿 사용료 정책 사실상 폐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오피스에서 인공지능(AI) 기반 코파일럿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추가로 월 20달러를 부과하던 계획을 철회한다.
하지만 ‘코파일럿 프로’ 기능이 번들 형태로 오피스에 통합되면서 MS 365의 구독 요금은 상승하게 된다.
지난 11월 7일 IT매체 ‘더 버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코파일럿 프로’(Copoilot) 기능을 MS 365 퍼스널 및 패밀리 구독에 번들로 제공한다고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MS 365 구독에 코파일럿 기능을 번들로 제공함으로써, 코파일럿 추가 사용료 20달러(약 2만8000원)를 지불하지 않아도 된다.
현재는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대만, 태국에서만 가능하며, 기능 지역 확대 계획은 공개하지 않았으며, 이번 시도는 향후 확대를 위한 테스트 성격이 크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AI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는 대신, MS 365 구독 가격이 올라간다는 점이 지적받고 있다.
호주에서는 구독 비용이 139호주달러(원화 약 12만 8,000원)에서 179호주달러(원화 약 16만 5,000원)으로 상승했다. 상승되는 요금 폭은 국가별로 상이하다.
인공지능(AI) 사용량의 한정적인 부분도 지적받고 있다.
MS 365 퍼스널 및 패밀리 구독자들은 워드・엑셀파워포인트・아웃룩・원노트・디자이너에서 코파일럿을 사용할 수 있는 AI크레딧을 받게 되고, AI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MS 365 클래식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2023년 11월에 출시된 코파일럿은 직원 요청에 따라 회의 일정 잡기, 제품 공지 작성, 발표 자료 만들기 등 일상 업무를 지원해 기업 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받았지만, 사실상 실패라는 것이 현재의 평가다.
코파일럿의 기능들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기술 파트너인 오픈AI(Open AI)의 챗PT(Chat GPT)로 몰리고 있으며, 사실상 코파일럿과 챗GPT의 차이점을 찾지 못하면서 상황이 심화되고 있다.
이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는 인플렉션AI의 무스타파 술래이먼을 영입했으나 상황은 개선되지 않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코파일럿 프로를 통해 MS 365 앱에서 소비자들에게 코파일럿을 선보인지 9개월이 됐다. 그동안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성능을 개선했으며, 고객의 피드백에 귀 기울여 왔다”라며 “이 피드백을 바탕으로 코파일럿을 MS 365 퍼스널 및 패밀리 구독의 일부로 제공하게 됐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경기콘텐츠진흥원, ‘2024년 XR 최신기술동향 세미나’ 개최... 글로벌 빅테크의 최신 AI 전략은?
- 국내 유일 HyperAI·Go 프로젝트 취·창업 훈련 개강
- 깃허브, ‘깃허브 패키지 레지스트리’ 출시…퍼블릭과 프라이빗 패키지 패키지 제공
- 깃허브, 자바스크립트 패키지 레지스트리 ‘NPM’ 인수
- ‘마이크로소프트’, 소스코드 공유 사이트 ‘깃허브’ 인수
- 깃허브, 기업용 ‘코파일럿’ 출시
- 깃허브 코파일럿, 음성 명령 인터페이스 제공
- 깃허브, 코덱스 기반 노코딩 AI ‘코파일럿’ 정식 출시
- 라인페이, 일본에서 결제 정보 13만 3000건 유출
- 마이크로소프트사, 풍부한 자금력보유... 사이버 보안 영역 "닥치고 인수"
- 삼성전자, SW 인재 1만 명 양성
- 카카오 ·구글 등, AI 기술 대중화 및 연구 활성화 위한 ‘머신러닝 캠프 제주 2017’ 공동 개최...전세계 35개국 참가
- MS, 게임 '마인크래프트' 이용해 AI 실험한다...오픈소스 Malmo포로젝트 공개
- 태국, 생성형 인공지능으로 경제 도약 준비… 2030년 GDP 6% 성장 전망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 손잡고 아세안 반도체 허브 도약 선언
- 호주, 16세 이하 소셜미디어 사용 금지 법안 발의… 위반 플랫폼에 대규모 벌금
- 호주, 전자담배 규제 강화
- 호주, '골든 비자' 발급 중단
- 설 연휴 태국 방문 관광객 급증 예상... 태국내 공항마다 총력전
- 말레이시아, 'NIM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 도약 목표
- AI 스스로 제어하고 작업…오픈AI 곧 'AI 에이전트' 출시
- 마이크로소프트, 2025 회계연도에 AI 지원 데이터 센터에 800억 달러 투자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유신자유경제구역 설립 합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