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시암상업은행(SCB) 산하 SCBX와 SCB 경제정보센터(SCBEIC)가 공동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이 2030년까지 태국 국내총생산(GDP)의 6%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번 조사는 무역과 제조업이 이러한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했다.
태국 기업들은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에 점점 더 익숙해지고 있으며, 특히 제조와 서비스 산업에서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러한 기술 도입은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태국 경제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인공지능 기술 채택에는 여전히 여러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태국의 101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AI 프로젝트 실패의 주요 원인으로 데이터 신뢰성 및 품질 저하(40%), 프라이버시 및 규제 준수 우려(38%), 데이터 접근 제한(36%)이 지적되었다. 이는 태국 기업들이 AI 도입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이다.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에서 AI 도입의 선두 국가로 자리 잡았으며, 태국과 말레이시아는 AI 기술의 잠재력을 활용해 운영 효율성과 수익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태국은 AI를 통해 제조업 자동화와 서비스 개인화를 강화하며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태국은 이러한 AI 기술 도입과 함께 데이터 품질 관리와 규제 준수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AI가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다.
AI는 태국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기업과 정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인도네시아-프랑스, 경제·방위 협력 강화… G20 정상회의서 양국 관계 격상
- 기후위기의 경고: 섭씨 2도의 문턱에서 맞이하는 인류의 도전
- 픽쇼코리아 신우훈 대표, 대구 대표 기업인으로 우뚝
- 한국·일본, 세계 성 생활 조사에서 최하위
- 마이크로소프트, MS 365에 ‘코파일럿 프로’ 기능 번들로 제공
- 베트남 디지털 경제, 2024년 두 자릿수 성장 지속
- 태국 관광 회복세…올해 10월까지 2900만 명 넘는 관광객 유치
- 베트남 쌀값 상승, 아시아 수출 시장 선두 유지
- LG전자 베트남 R&D거점, 전장SW 개발에서 가전과 웹OS까지 역할 확장
- 태국, 인도의 쌀 수출 규제 완화 가능성에 긴장… 치열해지는 글로벌 쌀 시장 경쟁
- 태국 재정정책실, 경제 성장 전망치 유지…2024년 2.7%, 2025년 3% 성장 기대
- 태국 6개 국제공항, 2024 회계연도 승객 1억 1천만 명 돌파…전년 대비 19% 증가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태국, 정년 65세로 상향 조정 추진
- [비전 인사이트] '브릭스 정상회의'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 국제 쌀값 폭락,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 인도 수출 규제 완화 영향
- 태국, 경기회복 프로그램 가동... 소기업 지원·생활비 절감
- [비전 인사이트] 세계는 무역전쟁에서 나아가 '관세전쟁'으로 확대
- 일-아세안 탈탄소 협력 강화
- [비전 인사이트] 中 테무 저가공습에 떨고 있는 인도네시아, 규제 칼 빼든다
- 태국 중앙은행, 바트화 환율 개입
- 외자가 베트남 남부 부동산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
- 동남아에 설립한 중국 태양광 모듈 '공장 폐쇄' 가속
- AZEC 핵심 분야 탈탄소화 추진 합의
- 태국, 동남아 각국과 '적극적인 경제 관계' 추진
- 말레이시아, 브라질과 손잡고 아세안 반도체 허브 도약 선언
- 태국 경제, 금년 3분기부터 안정세를 보일 것
- 말레이시아,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보다 높을 것... 6%대 전망
- UNCTAD, "2분기 세계무역성장 암울"
- 말레이시아, 'NIM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 도약 목표
- 태국, 2025년 BRICS 파트너국으로 합류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유신자유경제구역 설립 합의
- 태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 통화 정책과 암호화폐에 대한 신중한 접근
- 태국 경제 성장률 2.5% 기록… 제조업 부진 영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