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 안정적경쟁국가로 분류
AI 선도국가 5개국 선정

지난 12월 11일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AI 성숙도 매트릭스’ 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의 인공지능(AI) 기술 성숙도와 잠재력은 세계 최상위권인 5개국에 포함되지 못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 성숙도를 기준으로 73개국을 평가하면서도 별도 순위나 점수는 매기지 않았다.
조사 대상국을 ▲선도국가 ▲경쟁국가 ▲실무국가 ▲초기 도입 국가 ▲노출 실무 국가로 나눴다.
‘AI 선도국가’는 ▲미국 ▲중국 ▲영국 ▲싱가포르 ▲캐나다 5개 국가였다.
이들 5개국은 AI 준비 상태가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를 바탕으로 기술 혁신, 인재 개발, 윤리적 규제 등에서 세계를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은 ▲호주 ▲핀란드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일본 ▲말레이시아 ▲스페인 ▲대만 등과 함께 ‘AI 안정적 경쟁국’'(AI steady contenders)로 분류됐다.
‘AI 안정적 경쟁국’ 단계는 높은 수준의 AI 활용 가능성을 보이지만, 선도국과 비교했을 때 준비 상태가 다소 뒤처진 국가들을 포함한다.
해당 그룹은 “정책, 인재, 연구개발, 투자 등 여러 분야에서 개선 여지가 있다. 보다 적극적인 AI 전략이 필요하다.”는 조언을 받았다.
보고서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AI 경쟁국가의 전략으로 “틈새시장이나 전문화된 시장에서 지분을 확대할 것.”을 제시하면서 모범 사례로 말레이시아를 언급했다.
말레이시아는 AI 기술 육성을 위해 국가 AI 로드맵을 수립하고, 정부의 집중적인 지원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동안 윤석열 정부는 AI 관련 정책을 발표하며 영국 토터스미디어가 발표한 ‘글로벌 AI 순위’를 인용하면서 AI 역량을 강조해왔다.
최근 정책 발표에서도 이 순위를 인용하며 “1위 미국, 2위 중국에 이어 우리나라를 비롯한 3위권 그룹(3위 싱가포르, 4위 영국, 5위 프랑스, 6위 한국, 7위 독일, 8위 캐나다)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고 홍보했다.
정부가 홍보한 국내 AI 역량 수준과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는 AI 수준 간 괴리가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관련기사
- 오라클, 말레이시아에 65억 달러 투입 데이터센터 설립 추진
- 엔비디아, 세계 ‘가장 중요한 주식’ 등극, 곧 발표될 실적 발표 압박
- 인공지능, "금융업을 송두리째 바꿀 것"
- 유럽 은행들, 보안 취약점 노출
- 영국 제조업 10위권 추락 英정부 경종
- 텐센트 씨티, 한국거럐소 연내 2위 IPO 등극
- HSBC 전문가 "베트남, 디지털경제 성장속도가 아세안 앞섰다"
- 태국, 국가 인공지능 전략 가속화
- 애플, 작년 세계 시가총액 1위 차지... 10대 테크 기업 시가총액 70% 차지
- [비전 인사이트] 반도체 '인재 양성' 시급... '임갈굴정'의 우를 범하지 말아야
- [월드e] 다낭, 지역경쟁력지수 개선 방안 모색
- [기고] '한일관계 정상화', 무언실천(無言實踐)의 "옳은 길"
- [월드e] 중국 저장성, AI 의무교육 과목에 추가
-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유럽 각국이 우주 비행과 국방비 증가하도록 자극
- 미국 기관 투자자들, 금융 같은 민감 주식 구매 가속화
- 중국, 미국과 동등한 수준을 위해 과학 기술 입지 강화
- EU, S&P 글로벌 IHS 마켓 인수 반독점 승인 임박
- 넷마블, 2021년 구로 신사옥에서 글로벌 시장 공략
- SKT, AI 스피커 누구 '요리도 뚝딱'
- 호텔스닷컴, 한국 밀레니얼 세대의 여행 인식은?
- 말레이시아, 'NIMP 2030'으로 글로벌 의료기술 허브 도약 목표
- 영국 ‘황실도량형’ 복귀 취소…국민 98.7% 반대해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유신자유경제구역 설립 합의
- 프랑스 샴페인 판매 감소: 사치품 시장의 변화
- 트럼프, 대만 포함 각국에 ‘상호 관세’ 부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