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지원 축소 가능성, 일본 자동차 업계에 양날의 검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차기 대통령직에 복귀할 가능성을 두고 일본 자동차 업계가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트럼프가 수입품 관세 인상을 다시 주장할 경우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의 영업이익이 큰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9일,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이 미국 시장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수입차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10~20%로 대폭 인상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스바루와 마쓰다 등 주요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은 2025 회계연도 영업이익이 30% 이상 감소할 가능성을 경고받고 있다. 노무라증권은 스바루의 영업이익이 최대 35% 감소할 것으로 추산했으며, 마쓰다와 미쓰비시도 각각 33%와 21%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스바루는 일본 내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어 관세 인상에 따른 영향을 가장 심각하게 받을 것으로 보인다. 마쓰다 가쓰히로 회장은 "이 문제는 개별 기업이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선다"며 정책 대응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미국이 관세를 인상할 경우 일본 자동차 제조사들은 생산기지를 일본에서 미국으로 옮기는 등의 구조 조정을 강행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하지만 중소형 제조사들은 높은 투자 비용으로 인해 이러한 조치가 쉽지 않다. 한편, 미국 내 생산 비중이 높은 도요타와 혼다는 상대적으로 관세 인상의 영향을 덜 받을 것으로 보인다.

도요타는 이미 멕시코 생산기지에 14억5000만 달러를 투자하며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멕시코산 제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일본 자동차 업계는 또 다른 압박에 직면할 수 있다. 혼다와 닛산은 멕시코에서 각각 연간 20만 대와 30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해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변화는 일본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일부 긍정적인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해 온 순수 전기차 보조금 정책이 폐지될 경우, 일본 기업들은 하이브리드차 기술 우위를 활용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그러나 전기차 보급 속도가 늦어지면 글로벌 시장에서 일본 기업들이 뒤처질 위험도 존재한다.

혼다와 닛산은 트럼프 행정부를 대상으로 한 로비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 정부 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는 전략을 구상 중이다. 그러나 관세 인상과 전기차 정책 변화로 인해 일본 자동차 업계는 앞으로도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