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수입된 품목, 1406개로 절반 이상 차지
가전제품은 중국산 수입이 전체의 90% 이상 차지

10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9일 2024년판 '무역백서'를 발간했다.
백서에 따르면 일본 수입 품목의 국가별 출처를 조사한 결과 중국에서 수입된 품목은 1406개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또 일본의 공급망이 여전히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보고서는 무역통계가 4300개 품목을 분석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백서는 수입품의 출처 다양화와 위해성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문에 따르면 백서는 "일본은 미국이나 독일에 비해 수입처를 다양화하는 품목이 적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무역통계에 따르면 노트북·세탁기 등 가전제품은 중국산 수입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관련기사
- 중국의 해외 입국 여행 시장 호조
- 인도, 세계 식량 소비 시장의 주역이 될 것
- 넷마블 엠엔비 ‘쿵야 레스토랑즈’, 삼성전자 갤럭시 캠퍼스와 콜라보 캠페인 전개
- [비전 인사이트] HBM 무기한 노조파업, 명분 없다
- [건강 코너] 양파의 대표적인 '비움' 효과와 노폐물과 독소 제거
- 인도 이상 기후, 차값 작년보다 20% 인상
- "엔화, 지속적인 회복을 맞이할 것인가? "
- 베트남, 일본 참치 수출 급증… 가공 참치 품목 성장 주도
- 베트남 참치 수출, 10월 기록적 성장세…연간 10억 달러 돌파 전망
- 우라늄 가격 다시 상승… 러시아 수출 제한이 원인
-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선언… 북미 경제 충격 우려
- 일본 정부, 고물가 대응 종합경제대책 확정… 반도체·AI 투자 및 저소득층 지원 포함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인상 예고에 일본 자동차 업계 초긴장
- 일본 경제, 2분기 연속 성장세 유지…소비와 급여 증가가 견인
- 베트남, 10월 수출입액 전년 대비 11% 증가…무역 흑자 233억 달러
- 베트남 수산물 수출, 10월에 10억 달러 돌파…주요 시장 수요 급증
- IMF, 구매력평가 기준 러시아를 세계 4위 경제대국으로 선정
- 국제 쌀값 폭락,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 인도 수출 규제 완화 영향
- 세계무역기구, "세계 상품 무역이 온건하게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
- 구글 검색 광고 사업 도전에 직면
- 다이아몬드의 인기를 육성... 시장 구조 재편성
- 美 금융소득 급증으로 빈부격차 확대
- 2024년 7월까지 베트남 상품 수출액 2270억 달러 육박
- 고교야구의 전통을 이어가는 전북
- UAE와 중국, 2분기 사우디 비석유 수출 견인
- 동남아 경제, 바닥 치고 '반등'
- 트럼프 당선 후 중국산 고관세 부과예상... 유럽경제에 오히려 得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