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중 국내 기업의 수출액은 약 630억 8,000만 달러로 21.1% 차지
전월 대비 6.7%,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
농산물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

베트남의 주문량 증가, 특히 주요 시장의 주문량이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여 기업이 생산 및 운영 활동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도록 지원하고 올해 마지막 몇 달 동안 대외 무역 활동의 원동력을 만들었다.
베트남 산업통상부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7월 베트남 상품 수출액은 약 359억 2000만 달러로 전월 대비 6.7%,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했다.
2024년 1-7월 총 상품 수출액은 거의 2,270억 달러로 동기 대비 15.7% 증가했으며 그 중 국내 기업의 수출액은 약 630억 8000만 달러로 21.1% 증가하여 전체 수출액의 27.8%를 차지했다.
특히 올 들어 7월까지 각종 품목의 수출액은 강한 증가세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농산물 수출은 214억 달러로 동기 대비 19.6% 증가했으며 전체 수출의 9.4%를 차지했다.
산업통상자원부 대표에 따르면 수출가격 상승에 따라 커피 30.9%, 쌀 25.1%, 차 34.8%, 청과 24.3%, 캐슈넛 22.1%, 후추 46.3%, 카사바 및 카사바 제품 12.5% 등 각종 농산물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또한 가공제조업 제품의 수출액은 1,920억 달러에 육박하여 전체 수출액의 84.6%를 차지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4% 증가했다. 여전히 주력 제품으로 꼽히며 업계 전반의 성장을 이끌었다.
카메라, 캠코더 및 부품 51.5%, 컴퓨터, 전자제품 및 부품 30%, 플라스틱 29.9%, 목재 및 목제품 23.3%, 각종 철강 9.8%, 기타 기계장비 및 부품 19%, 신발 10.1%, 휴대전화 및 부품 12.3% 등 수출액이 크게 증가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평가에 따르면 수출시장, 특히 베트남의 대규모 무역 파트너인 미국 시장은 회복세가 좋아져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뤘다.
특히 미국 은 660억9000만달러로 전체 수출의 29%를 차지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4%(전년 동기 대비 20% 가까이 감소) 늘었고 중국시장도 333억8000만달러로 7.2%, 유럽시장도 약 293억4000만달러로 15.8%, 한국도 약 143억9000만달러로 9%, 일본도 134억6000만달러로 2.8% 증가했다.
수입 측면에서 2024년 7월 베트남 수입액은 38억 달러에 달하여 전월 대비 11% 증가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베트남의 총 수입액은 212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5% 증가했다.
이에 따라 베트남은 7월에 21억2000만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했다. 지난 1-7월 무역흑자는 140억8000만달러(지난해 같은 기간 165억달러 흑자)로 내자기업은 149억2000만달러, 외자기업(원유 포함)은 290억달러 흑자였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관련기사
- 전 세계적인 양적 긴축추세, 시장 경보를 울리다
- 동아제약, 신제품 모닝케어 새얼굴로 배우 ‘임시완’ 발탁
- 전주시, 자주재원 확보 위한 특별 체납징수 나서
- AZEC 핵심 분야 탈탄소화 추진 합의
- 프랑스 신재생에너지 생산계획 관련, 의문성 논란 휩싸여
-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측에 국경지역에 파견병력 철수 요청
- 중국, 베트남 농산물 제1의 수출 시장
- 일본, 베트남 증시 투명성 제고 협조
- 中 기업 베트남 진출 가속화...공급망 재편·구축이 주된 요인
- 베트남 호치민, 中기업 투자 지원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중국, 베트남서 커피 수입 증가
- 기후변화로 향후 커피는 "더 쓰고 비싸진다"
- 일본 수입 상품의 공급 중국에 크게 의존
- 금년 상반기 베트남 방직업의 수출액은 약 195억 달러 달성
- 미 싱크탱크, "중국 제조업 일자리 계속 늘 듯"
- 4월 중국발 미국향 컨테이너 운송량 증가율 2%에 그쳐
- 베트남 농산물 수출, 2024년 600억 달러 돌파 전망
- 스틱인베스트먼트, 동남아 유니콘기업 ‘그랩’애 2억 달러 투자
- 베트남 커피 수출, 2025년 2월 8억 5,420만 달러 기록
- 산자부-중진공 ‘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