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이 분절화·블록화 재편 양상
BYD, BOE, Trina Solar 등 선도기업 중심으로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가속

12월 5일 일본경제신문에 따르면 올 11월 누계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對베트남 투자액은 83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의 2배 수준에 달한다.
베트남 정부 통계에 따르면 동 기간 베트남의 외자유치 규모는 15% 증가한 288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그중 중국이 약 30%를 차지한 셈이다.
중국의 對베트남 투자가 급증한 원인은 ▲미국의 중국産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 회피, ▲애플사 등 다국적 기업의 공급망 이전에 따른 동남아 생산기지 구축, ▲중국기업의 新시장 개척 본격화 등으로 풀이된다.
글로벌 공급망이 분절화·블록화 양상을 보이며 재편되는 과정에서 중국 비야디(BYD), 디스플레이 업체BOE,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 Trina Solar 등 선도기업 중심으로 중국기업의 해외진출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 [월드e] 몽골-중국 양국 교역액 200억 달러 달성 가능
- [월드e] 네팔, 엔젤 주식 거래조사 대상
- [월드e] 필리핀, 11월 인플레이션 더욱둔화
- 영국, 이민을 줄이기 위한 여러 조치를 발표
- 태국 공무원 4명, 은행 계좌 예금 과다로 해임
- 인도네시아, 석탄 감축 약속에도 석탄 발전소 확충... "석탄 포기 어렵다"
- 서서히 중국 관광 회복세...홍콩ㆍ마카오 인기 부상
- 외자가 베트남 남부 부동산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
- 베트남, 외국의 방직 의류 기업의 투자처 되어
- 동남아에 설립한 중국 태양광 모듈 '공장 폐쇄' 가속
- 필리핀 상원, "한국과의 FTA 조만간 승인" 예상
- 중국-라오스 철도의 수출입 화물, 천만 톤을 돌파
- 베트남 호치민, 中기업 투자 지원
- 필리핀, 한국과의 FTA는 바나나 시장 유지에 필수
- 인도, 2027년 세계 3위의 경제대국 부상
- [비전 인사이트] 韓 '해외여행 선호' 추세 VS 中 내수경기 위해 '시내면세점 확대'
- 2024년 7월까지 베트남 상품 수출액 2270억 달러 육박
- 중국, 베트남 농산물 제1의 수출 시장
- 동남아 경제, 바닥 치고 '반등'
- 말레이시아, 수출입 총액 증가세 유지
- 동남아 국가 브릭스 급물살
- 인도네시아, 전세계 제2위의 배터리 생산국이 될 것
- "인구 대국인 인니 진출 한국 기업 2배 증가…할랄 인증 등 규제 강화 주의"
- 태국, 동남아 각국과 '적극적인 경제 관계' 추진
- 베트남 과일, 동북아시아 시장에서 수출 확대 전망
- [기고] '집중 폭우'를 이긴 우범기시장의 리더십
- 애플, 2023회계연도 한국에서 영업이익 550% 급증
- 중국 비야디, 일본 전기차 시장에서 급부상
조성영
chosy@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