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 동안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이 지역에서의 사업 확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2024년 상반기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한국 기업은 2,166곳에 이르러 2019년의 1,007곳에서 크게 늘어났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많은 인구를 가진 국가로, 중요한 소비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까다로운 할랄 인증과 표준인증제도 등으로 인해 진출한 기업들이 다양한 규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규제 대응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인도네시아 산업부와 할랄제품보장청(BPJPH), 국영 시험인증기관(SUCOFINDO) 등의 규제 담당자들과 함께 진행되었으며, 인도네시아의 기술 규제 정보와 최신 개정 동향, 그리고 대응 방안이 논의되었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할랄 인증제도는 2020년 10월부터 모든 제품에 할랄 인증을 표기하도록 의무화되었으며, 오는 10월까지 시스템 준비와 세부 시행 규칙이 마련될 예정이다. 또한, 인도네시아의 자국산 제품 사용 장려 정책과 표준인증제도(SNI)의 강화도 한국 기업들이 현지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창수 산업부 국표원 기술규제대응국장은 "우리 기업들이 인도네시아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기술 규제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대응 전략이 필수적"이라며, "앞으로도 중국, 베트남, 인도 등 주요 시장에서 한국 기업들이 현지 규제를 준수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태국, 동남아 각국과 '적극적인 경제 관계' 추진
- 멕시코 중앙은행, 예상치 못한 금리 인하 논란
- 러시아, 암호화폐 채굴 '합법화'
- [기고] 침울한 전주성 안방 전북현대... 최하위로 강등위기
- 하시나는 몰락한 후 인도로 피신, 방글라데시인들 사이에서 힌두교도에 대한 반감 격화
- [기고] 고난을 어떻게 여기는 것이 "극복의 지름길"
- 중국, 베트남 농산물 제1의 수출 시장
- 中 기업 베트남 진출 가속화...공급망 재편·구축이 주된 요인
- 부산인도네시아센터, 인도네시아 정부 할랄청 '공식 할랄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아
- 베트남, 글로벌 할랄 식품 시장 진출 가속화
- 베트남-아랍 기업 도킹 회의, 무역 및 투자 협력 강화 논의
- 필리핀, 사우디와 무역관계 강화
- 태국 참치캔 수출 세계 1위
- 베트남 농산물 '수출 호조'... 농업 GDP 3~3.5% 증가
- 알고랜드, 샤리아 인증 획득 ‘이슬람 금융 진출’
- 스텔라루멘, 샤리아 인증 획득으로 이슬람 금융 진출
- 남이섬 ‘2023 대한민국 국가사회산업 공헌대상’ 수상
- 사이버한국외대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 교육 사업, 베트남 휴텍대·인도 네루대 등 신규 참여
- 인도 IT업계, 대폭적으로 직원 채용 축소
- 인도 전문가 "인도는 중국과 디커플링은 없을 것"
- 자연 찾아 맛 찾아 떠나는 춘천 남이섬 ‘미식 로드’
- 할랄시장 공략 나선 K-푸드
- 종근당, 인도네시아 항암제 공장 설립...글로벌 가속화
- 삼양식품, 식품업계 최초 ‘2억불 수출의 탑’ 수상
- 식약처, 화장품 수출 '적극 지원'
- 나노브릭, 중동 MTE Expert 사와 ‘엠태그’ 수출계약...국내 벤처 위조방지솔루션, 중동 정품인증 시장 진출
- CJ제일제당 백설요리원, 수교 60주년 기념 터키인 ‘할랄 한식 쿠킹클래스’ 진행
- 산자부-한국엔지니어링협회 ‘제1차 K-엔지니어링 산업대회’ 개최
- 국표원, 반도체 국제표준 39건 추진…‘초격차 기술 확보 지원’
- [월드e] 조코 인도네시아 대통령, 필리핀 방문
- 인도네시아, 중국팀과 협력하여 신수도 건설할 계획... 약 340억 달러 소요
- 산자부-중진공 ‘통상변화대응지원사업’ 참여기업 모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