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닛산자동차가 경영 재편을 추진하는 가운데, 2025년 4월부터 6월까지의 합병 재무 실적에서 최종 손실 1,157억 엔(약 7억 8천만 달러)을 기록하며 4분기 연속 적자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285억 엔 흑자에서 큰 폭의 실적 악화로 전환된 것이다.

닛산은 미국 정부의 추가 관세 정책과 공장 가동률 저조에 따른 자산 감액 손실 등으로 실적에 큰 타격을 입었다. 특히 미국이 일본 자동차에 대해 원래 27.5%였던 수입 관세율을 15%로 인하하기로 양국이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 자동차 기업의 이익은 여전히 압박을 받고 있다.

닛산 이반 에스피노사 사장은 7월 30일 기자회견에서 당초 2025 회계연도 영업이익에 최대 4,500억 엔의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최근 전망치는 약 3,000억 엔 수준으로 조정됐다고 밝혔다. 다만 전체 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이익 전망은 여전히 "미정" 상태다.

같은 기간 닛산의 매출은 2조 7,069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고, 영업 손익도 791억 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작년 동기에는 99억 5,000만 엔의 흑자를 냈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손실은 687억 엔, 엔화 강세로 인한 손실은 397억 엔에 달했다.

또한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에 위치한 오하마 공장 등의 가동률 저조로 인해 자산 가치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이로 인해 400억 엔 이상의 감액 손실이 발생했다. 닛산은 해당 공장의 생산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닛산의 4~6월 글로벌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한 70만 7천 대에 그쳤다. 일본 내외 판매 부진이 이어지며 실적 개선의 조짐은 여전히 미약한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