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위기 타개 위한 대규모 구조조정

닛산 자동차가 심각한 실적 부진과 경영 위기에 직면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약 2만 명의 직원을 감원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기존에 발표했던 9,000명 감원 계획에서 대폭 확대된 수치로, 전체 직원 약 13만 명의 15%에 달하는 규모다.
닛산은 북미와 중국 등 주요 시장에서 판매 부진이 지속되면서 경영 효율성 확보를 위한 구조조정 속도를 높이고 있다. 이미 2024년 11월에 9,000명의 감원과 함께 생산량을 20% 줄이는 계획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번 조치는 그 연장선에 있다.
영국의 글로벌 데이터 기업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닛산의 미국 공장 가동률은 57.7%, 중국은 45.3%, 일본은 56.7%에 머물렀다. 이는 자동차 업계의 손익분기점으로 여겨지는 80%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이로 인해 닛산은 인도, 아르헨티나 등 일부 생산 프로젝트를 취소하고, 생산능력에 맞춘 인력 감축으로 비용 절감을 꾀하고 있다.
구조조정은 경영진 변화와도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 혼다와의 합병 협상 결렬과 실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우치다 마코토 전 사장이 지난 3월 말 사임했으며, 후임으로 상품기획 담당이었던 이반 에스피노사가 사장직에 올라 구조 개혁을 주도하고 있다.
닛산은 4월 말 발표한 자료에서 2024 회계연도(2024년 4월~2025년 3월) 동안 최대 7,500억 엔(약 365억 위안)의 손실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자산 가치 재평가 과정에서만 약 5,000억 엔 이상의 감액 손실이 계상됐다. 이에 따라 투자 계획도 조정되었으며, 기타큐슈시에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신설하려던 계획도 전면 취소되었다.
닛산은 13일 재무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번 대규모 감원을 포함한 본격적인 구조 개혁 방안을 공개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번 조치가 닛산의 회생 가능성을 가늠할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관련기사
- 트럼프, 약가 최대 80% 인하 행정명령 서명 예고…“미국에 공정성 회복”
- [이슈IN] 불경기에 더 효과적인 '귀족마케팅', 명품 에르메스 시총 1위로 부상
- [기고] 지인선용(知人善用): 인재발탁과 적재적소 활용
- 프랑스, 청소년 소셜미디어 연령 제한 강화 추진
- 몽골, 6월부터 10년 이상 된 차량, 시에서 발급하는 번호판 발급 불가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미국 소비자와 글로벌 공급망에 직격탄
- 미국 수입차 25% 관세 부과 가능성, 일본 자동차 업계 타격 불가피
- 혼다-닛산 합병 협상 결렬… 일본 자동차업계 구조조정 난항
- 폭스콘, ‘닛산’ 인수 나선다.…‘르노’와 협상
- 필리핀, 2024년 자동차 판매 사상 최대 기록
- 2024년에도 등장한 신영증권 ‘나의 실수’시리즈… ‘예측 개선점 및 시장 전망 담겨’
-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인 닛산과 혼다 자동차 합병설
- 닛케이 존재감 하락, 일본 기업들 글로벌 시장 활로 찾아야
- 트럼프, 멕시코·캐나다 수입품에 25% 관세 부과 선언… 북미 경제 충격 우려
- GM, 전 세계 1000명 감원…전기차와 소프트웨어 전환 비용 압박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인상 예고에 일본 자동차 업계 초긴장
- 혼다, 1700명 감원설... 치열한 가격 경쟁에 뒤쳐져
- 일본 제조업 거물의 순이익이 최고치를 경신
- 일본 8대 자동차 기업의 글로벌 생산량 감소
- 2024년 2월 베트남 자동차 판매, 경기 침체로 사상 최저치... 전년 동기 대비 약 50% 감소
- 일본 자동차업체, 전기자동차 '판매 둔화'에도 '투자 가속화'
- 영국, 외자에 과도한 의존... 제조업 위험 지경
- 일본-아프리카 3국 중요 광물 공급망 구축 착수
- 일본 기업, 설비투자액 대폭 늘려... 전년 대비 16.9% 증가
- 인도, 일본 제치고 세계 4위 경제 대국으로 도약
- 아르헨티나, 5월 인플레이션율 1.5%… 5년 만에 최저치 기록
- 인도 대형기업 급증…글로벌 투자자 관심 속 일본 기업 영향력 흔들려
- 일본 제조업체, 인도에 대한 투자 가속화…“세계 제조 중심지로 부상”
- 닛산자동차, 4분기 연속 적자…미국 관세·판매 부진이 실적 악화 주원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