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은 엔화를 팔아 달러를 사들여
통화정책 정상화를 더디지만 확실하게 추진 전망

27일 도쿄 외환시장에서 엔-달러 환율이 하락하면서 외환시장은 한때 달러당 151.97엔까지 치솟아 거품경제 말기인 1990년 7월 이후 약 34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다고 교도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일본 중앙은행이 17년 만에 처음으로 정책금리를 인상했지만 완화적 통화환경은 유지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다무라 나오키 일본 중앙은행 심의위원의 27일 강연은 완화정책 유지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고공행진 중인 미국 금리와 일본 간 스프레드가 노이즈 마케팅 재료로 여겨지면서 투자자들은 엔화를 팔아 자산운용에 유리한 달러를 사들이고 있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이 2022년 10월 엔화를 사들여 달러를 파는 환율 개입에 나서면서 현재 엔화 환율이 당시 저점을 밑돌고 있어 개입에 대한 시장의 경각심이 확산될 조짐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지난 3월 통화정책회의에서 대규모 통화완화 정책의 간판이었던 마이너스 금리를 풀고 정책금리를 0~0.1%대로 유도하기로 했다. 일본 중앙은행은 추가 금리 인상에 대해 당분간 금리가 낮게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조심스럽게 판단하고 있다.
연준은 역사적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2022년부터 금리 인상을 급속히 추진하고 있다. 시장의 관심은 금리 인하 시작 시기와 페이스로 옮겨갔지만 금리는 아직 고공행진 중이다.
앞서 다무라 나오키 총리는 27일 연설에서 "통화정책 정상화를 더디지만 확실하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제약사 노보노디스크, 덴마크 경제의 '일등공신'
- 스웨덴 중앙은행, 핵심 금리를 4.00%로 유지
- 1~2월 中 휴대폰 출하량 14.6%↑
- 모병제 전문도서 출판 기념행사 열려
- 너도나도투표로 권리 행사, 제22대 한국 총선 재외투표 시작
- 베트남, 일본 참치 수출 급증… 가공 참치 품목 성장 주도
- 달러지수, 2년 고점 찍고 단기 하락... 여전히 강세
- 베트남 참치 수출, 10월 기록적 성장세…연간 10억 달러 돌파 전망
- 우라늄 가격 다시 상승… 러시아 수출 제한이 원인
- 일본 정부, 고물가 대응 종합경제대책 확정… 반도체·AI 투자 및 저소득층 지원 포함
- 일본, 쌀값 고공행진…가계 부담 심화
- 픽쇼코리아 신우훈 대표, 대구 대표 기업인으로 우뚝
- GM, 전 세계 1000명 감원…전기차와 소프트웨어 전환 비용 압박
- 트럼프 대통령 관세 인상 예고에 일본 자동차 업계 초긴장
- 미 재무부, 베트남 비 환율조작국 확정
- 일본 경제, 2분기 연속 성장세 유지…소비와 급여 증가가 견인
- 일본, 반도체·AI 산업에 10조 엔 투자 계획 발표
- 픽쇼코리아㈜ 신우훈 대표, ‘2024년 중소기업분야 신지식인’ 선정
- 베트남 섬유 의류, 글로벌 시장 확장과 성장세로 440억 달러 수출 목표 도전
- 글로벌 제약사들, 차세대 다이어트 약물 개발 경쟁 가열
- 도요타, 인증 위반과 중국 시장 경쟁 심화로 반기 순이익 26.4% 감소
- 해외 투자자 관심 식어... 일본 주식 부진 속 약세 지속
- 도요타, 멕시코에 14억 5천만 달러 투자 발표…미국 시장 공략 강화
- 베트남, 10월 수출입액 전년 대비 11% 증가…무역 흑자 233억 달러
- 폭스콘 산하 순신베트남, 베이장성에 전자부품 생산공장 설립…연 450만 개 생산 목표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