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동안 30개 이상의 기업이 미국 제조업에 신규 투자
녹색 산업에서 중국과의 연결 고리를 끊는 것 어려워

미국의 태양광 산업을 외국의 경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관세가 6일 재개되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미국의 태양광 보급을 촉진하기 위해 승인한 2년간의 유예기간이 끝났다고 뉴욕타임스(NYT)가 7일 보도했다.
신문은 이런 관세가 중국 기업이 동남아에서 생산하는 일부 태양광 제품에 적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바이든 정부는 세금 공제를 통해 미국의 태양광 산업을 육성하려고 노력해 왔으며, 지난 1년 동안 30개 이상의 기업이 미국 제조업에 신규 투자를 발표했다.
하지만 미국의 태양광 회사들은 중국과 동남아시아의 경쟁사들이 미국 기업들이 사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태양전지판을 전 세계 시장에 대량으로 판매하기 때문에 여전히 생존을 위해 몸부림치고 있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바이든은 미국이 화석연료의 값싼 수입품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계속 환영할 것인지, 아니면 납세자들의 자금으로 새로 짓는 미국의 태양열 공장을 보호하기 위해 그들을 막을 것인지 까다로운 선택을 해야 했다.
6일 발효된 관세는 이런 딜레마를 보여준다.그들은 2년 전에 승인되었으며 캄보디아,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일부 태양광 제품에 적용되었는데, 당시 미국 관리들은 일부 중국 기업들이 이전에 미국이 중국에 부과한 관세를 피하기 위해 다른 나라를 경유하려고 시도했다고 판결했다. 정확한 관세율은 회사에 따라 다르지만 250%는 넘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이든 정부는 2022년 6월 미국이 여전히 태양전지판을 대량 확보할 수 있도록 관세를 2년간 유예하는 이례적인 결정을 내렸다.바이든 부통령은 지난해 미 의회가 관세 부활 결의안을 통과시켰지만 이를 거부했다.
정부는 관세 모라토리엄 결정이 일종의 타협이라고 말한다.유틸리티 태양열 및 에너지 저장 회사를 대표하는 미국 청정에너지협회와 같은 단체들은 관세 부과가 기후변화에 대처하려는 미국의 노력을 손상시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결정은 바이든 정부도 도우려 했던 많은 국내 태양광 생산업체들을 격분시켰다.
관세를 둘러싼 반복은 미국이 중국과의 연결고리를 끊으려 할 때의 딜레마를 부각시킨다. 하지만 태양전지판, 핵심 광물, 전기차 배터리 등 중국이 전 세계 생산을 주도하는 녹색산업에서 중국과의 연결고리를 끊는 것은 특히 어렵다.
관련기사
- 노르웨이, 유럽 최대 희토류 광산 발견
- 중국 요녕성 주 선양 주재 한국총영사관, 한중미술협회 일행 초대
- [건강 코너] 솔잎의 항산화 성분, 면역기능 강화
- 푸틴, 글로벌 성장 중심 '아시아로 이동' 강조
- 중국 가구 수출 호황... 4월 누적 수출액 16.5% 증가
- 캄보디아, 2025년 예산 통과… 경제 성장률 6.3% 전망
- [기고] 중국, 내수경기 회복을 중시하는 이유
- 베트남 수산물 수출, 10월에 10억 달러 돌파…주요 시장 수요 급증
- 미중 갈등 속 베트남 대미 수출 급증…아세안 지역 2위 기록
- 국제 쌀값 폭락,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 인도 수출 규제 완화 영향
- 인도-미국, 핵심 광물 분야 파트너십 강화 논의… FTA 가능성 타진
- 유럽중앙은행, 금리 0.25% 인하…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둔화가 배경
- [비전 인사이트] 세계는 무역전쟁에서 나아가 '관세전쟁'으로 확대
- [비전 인사이트] 中 테무 저가공습에 떨고 있는 인도네시아, 규제 칼 빼든다
- 동남아에 설립한 중국 태양광 모듈 '공장 폐쇄' 가속
-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 개발도상국 성장 전망 상향 조정
- 트럼프 당선 후 중국산 고관세 부과예상... 유럽경제에 오히려 得
- 유럽 경제 회복 속도 저하 조짐
- 베트남 과일, 동북아시아 시장에서 수출 확대 전망
- 테슬라, 멕시코 '슈퍼팩토리' 건설을 일시 중단
- 중국 올 상반기 수출 강세… 세계 경제 성장에 동력 넣어
- 중국 전기차, 한국 진출에 박차
- 중소기업 제품의 대중 수출 호조 추세... 중국 내수 촉진과 한중 관계 증진 영향
- 해상 물류 운임 급등, 수출기업의 최대 애로사항 부상
- 세계 청정에너지 기술 투자 올해 2조 달러 돌파... 턱없이 부족
- IMF, 성장 전망 하향 조정.. "적자-채무-무역정책 비판"
- 美 거액을 지불하여 현지 배터리 제조업체를 지지
- 미국의 한 박물관, 14점의 밀수 문물을 캄보디아로 반환
- 베트남, WEC의 정식 회원 가입... 제 26회 세계에너지협의 처음 참석
- 태국과 캄보디아, 양자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
- 캄보디아-베트남의 관광협력 ‘캄보디아 나이트’개최
- 中 배터리 업계, 치열해지는 1위 경쟁
- 말레이시아, 2025년 전기차 시장 도약…녹색 자동차 허브 도전
- 태국 경제 성장률 2.5% 기록… 제조업 부진 영향
- 태국, 외국 투자 유치 지속 약속… 경제 성장 가속화
- 미국, 동남아 태양광 패널에 고율 관세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