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법 완화와 이주노동자 도입 대책에도 불구하고 부족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노동력의 유치가 중요
임금과 복리후생 인상뿐 양호한 근무환경 조성 필요

출산율 저하와 인구 고령화로 일본은 상시적으로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일본 당국의 이민법 완화와 이주노동자 도입 대책에도 불구하고 최근 보고서는 일본이 2040년 100만 명 미만 노동환경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일본의 해외 인재 유치를 위한 일본국제협력사업단(JICA)이 목요일(7월 4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40년 일본이 1.24%의 성장률을 유지할 경우 심각한 외국인 근로자 부족에 시달려 1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됐다.
일본의 외국인 근로자 수는 현재 205만 명으로 15년 전의 4배, 전체 노동인구의 3% 수준이다.JICA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도입 속도라면 일본의 외국인 근로자 수는 2040년 591만 명이다.하지만 인구 급감에 따른 인력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다.이 기관은 2년 전에도 비슷한 전망을 했지만 이번엔 '100만 이주노동자 부족' 규모가 두 배나 됐다.
JICA는 일본이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노동력의 유치가 중요하다고 보고 있다.
일본 정부가 최근 다양한 분야의 취업비자를 확대하는 것은 그만큼 이주노동자를 많이 받아들이기 위해서다.하지만 외국인 근로자를 유치하고 붙잡는 데는 일본도 도전하고 있다.여기에는 최근 엔화 약세와 일본의 전통적 저임금, 인권 문제에 대한 비판이 포함된다.
외국인 취업 지원을 위한 마이나비글로벌의 조사 발표는 최근 엔화 약세가 일본의 외국인 인재 유치에 걸림돌이라는 점을 부각시켰다.이 조사에 따르면 일본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 중 38.5%는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임금이 급감할 것으로 우려했다.
베트남, 미얀마, 캄보디아는 현재 일본 이주노동자의 주요 원천이다.
Myavi Global 보고서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들은 직업을 선택할 때 임금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인간관계에도 신경을 쓴다.
더 많은 외국인 근로자가 일본에서 계속 일할 수 있도록 임금과 복리후생 인상뿐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가 함께 일할 수 있는 다양한 근무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관련기사
- 세계 부채 부담 91조 달러... 각국 국민에게 큰 타격을 줄 것
- 지구 온난화 심화... 폭염이 세계 경제에 심각한 영향 끼쳐
- [비전 인사이트] AI가 주도하는 "승자독식(Winner Takes All)시대", AI를 지배하는 플랫폼과 인재 양성 시급
- [기고] 총체적으로 '나사빠진'전북현대, '초심불망 마부작침(初心不忘 磨斧作針)'정신 절실
- 스포츠계 “안창호 인권위원장 후보 환영... 현장 인권 향상 기대"
- 안창호 인권위원장후보 청문회 내달 3일... 교계·사회단체 등 지지
- "엔화, 지속적인 회복을 맞이할 것인가? "
- 일본, 베트남 증시 투명성 제고 협조
- 외자가 베트남 남부 부동산 시장에 대량으로 유입
- 한중 관계 훈풍 조짐, 방중 한국인수 대폭 증가 추세
- [비전 인사이트] 제주 제2국제공항 착공 서둘러야... 중국 관광객 수용 능력 확보
- 세븐일레븐 모기업, 부엉이식품 인수제안 거부
- 바이든, 일본제철의 미 철강사 인수 건 막는다
- 인도, 2027년 세계 3위의 경제대국 부상
- [비전 인사이트] 韓 '해외여행 선호' 추세 VS 中 내수경기 위해 '시내면세점 확대'
- 동남아 경제, 바닥 치고 '반등'
- 방글라데시 휘청, 글로벌 패션산업 체인 강타
- 日 최대 수익원으로 부상한 외국 투자 수익
- 일본, 반년새 외국인 관광객 1777만7200명... 과잉관광에 딜레마
- 중국투자자들, 태국 부동산 시장에 더 많이 진출
- 일본 쌀값 30년 만에 최고치... 폭염으로 여름철 고온 영향탓
- 일본 관광업 부활... 공중화장실 증가로 '관광공해'
- 일본, 외국인 인구 15년 연속 감소 사상 최대... 1968년 조사 이후 가장 큰 폭
- 일본, 관광객 '1분 통관' 시스템 내년 도입
- [비전 인사이트] 한국은 기업 '수출대국'이 주는 明과 暗...결국 "기업하기 좋은 나라" 만들어야
- 필리핀, 2024년 상반기 300만 명 이상 관광객 도착 기록
- 올 상반기 필리핀 관광 매출 희소식
- 엔화 차익거래 실패에 따라 위안화 차익거래 호조
- 캄보디아, 2025년 예산 통과… 경제 성장률 6.3% 전망
- 일본, '디지털 노마드 정책' 실행... '인구 감소'에 대응
- 2024년 미얀마 한식문화축제 개최
- 한국 인재경쟁력 순위, 일본에 '앞서다'
- [비전ON] 베트남 무비자 체류일, 15일에서 30일로 늘어날까?
- 캄보디아-베트남의 관광협력 ‘캄보디아 나이트’개최
- [Inside] 출생 인구 역대 최저... 일본, 외국인 이민에 문 열리나
- 캄보디아 더충 국제공항, 개통 임박
- 중소기업・소상공인 민생 개선방안, ‘외국인근로자의 권역 간 사업장 이동 허용’
- 일본, 출산율 반등 위해 전면적 출산비 공공보험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