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대출을 통해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연해질 전망
외화유동을 공식 규제하고 있어 자동적으로 위안화 차익거래 규모를 축소
엔화는 8월 5일 한 주 동안 6.8% 급등
위안화도 유출 효과로 1.7% 절상

글로벌 금융시장에서는 최근 엔 캐리 트레이드가 실패하더라도 위안화 스프레드가 환율 변동에 더 잘 견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왕립은행은 "중국 인민은행(중앙은행)이 완화적 통화정책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위안화 대출을 통해 고수익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연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맥쿼리 그룹에 따르면 위안화 차익거래와 엔화 차익거래의 차이점은 위안화 차익거래의 운영자가 대부분 수출업자 및 다국적 기업이며 투기꾼이 아니라는 점이다.
2022년 연준의 금리 인상으로 미국 차입 비용이 중국 차입 비용보다 높아진 후에야 이 기업들이 이익을 얻기 시작했다. 그해부터 중국 수출업자와 다국적 기업은 5000억 달러를 쌓아왔다.
둘째는 위안화 완전 환전 불가다. 중국은 경제를 통제하기 위해 외화유동을 공식 규제하고 있어 자동적으로 위안화 차익거래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캐나다 왕립은행 자본시장부(RBC캐피털마켓)의 아시아 환율전략 책임자인 천쯔톈(陳子天)은 중앙은행이 정책을 완화하려고 할 때 통화를 강세로 유지하는 것은 모순이기 때문에 위안화를 신흥시장 통화 바스켓에 매도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천쯔톈(陳子天)은 "중국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중앙은행이 앞으로 몇 달 안에 정책을 완화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도 이런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분기 위안화를 빌려 8개 신흥시장 통화에 투자하는 스프레드 거래의 수익률이 0.5%라고 집계했다. 반면 엔화 관련 차익거래는 7% 하락했다.
장웨이친(張伟勤) 멜론은행(BNY) 아시아태평양시장전략가는 "역외 위안화 유동성이 계속 풍부해 시장 참여자들이 시장 변동성이 약화될 때 다시 차익거래에 참여하는 것을 거부하기 어려울 수 있다. ”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중국 중앙은행이 투기 차익을 피하기 위해 배치한 도구를 보유하고 있어 위안화 차익거래 규모는 제한적이다. 장웨이친은 투자자들이 이익을 얻을 기회는 있지만 규모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부 금융회사는 고객들에게 위안화를 빌려주는 것이 차익거래로 이익을 얻는 길이라고 말한다.
골드만삭스와 노무라 역시 중국 경제가 거시적 역풍을 맞고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무역 가중치를 둔 다른 통화에 대해 위안화를 공매도할 것을 권고했다.
차익거래는 글로벌 금리 차이를 이용해 금리가 낮은 환경에서 돈을 빌린 뒤 고수익 자산을 매입해 차익을 얻는 방식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7월 말 금리를 인상하고 엔화 가치를 끌어올려 대량 스퀴즈를 촉발했다.
엔화는 8월 5일 한 주 동안 6.8% 급등했고, 위안화도 유출 효과로 1.7% 절상됐다.
관련기사
- [기고] '희망'은 어려운 일의 시작, "용기는 일의 마무리"
- 2023년 中국가안전지수는 98.2%... 4년 연속 98% 이상의 높은 수준 유지
- IMF, 이집트 경제 회복 조짐
- 위안화 글로벌 결제 비중 3% 돌파... 5위 등극
- 유럽중앙은행 금리 인하 속도 낼 듯
- 미 싱크탱크 "글로벌 디지털 화폐 사용률 대폭 증가"
- 美 연준 '빅컷', 중국 대응 방식에 관심 모아져
- 日 구조적 공매도 여전… 엔화의 일방적 평가절상 곤란
- [비전 인사이트] 한국소비 "연속 9분기 (-)" VS 중국소비 "연속 5분기 하강"... 한국이 더 심각한 상황
- 전 세계적인 양적 긴축추세, 시장 경보를 울리다
- 日 2분기 경제 반등 조짐... 연율로는 3.1%
- 日 최대 수익원으로 부상한 외국 투자 수익
- 일본, 반년새 외국인 관광객 1777만7200명... 과잉관광에 딜레마
- 일본의 벤치마크인 닛케이 225 지수, 6일 10% 이상 급등
- "엔화, 지속적인 회복을 맞이할 것인가? "
- 일본, 2040년까지 100만 명의 외국인 노동력 부족에 직면할 것
- [기고] 몽골 투그릭 환율, 미국 달러 대비 140% 하락
- 브릭스, 디지털 화폐 결제 플랫폼 구축 추진... 러시아 거래시 활용
- 관광업은 일본 경제의 버팀목이 되어... 자동차 수출 다음으로 규모 커
- 엔-달러 환율 37년 반 만에 최저
- 엔화 약세로 달러화 임금 깎자 외국인들 일본 외면
- 일본, 두 달 연속 무역적자 기록
- 사우디, 미국과의 수십 년 된 석유 달러 협정 연장 거부
- 中 인민은행 2월 정책금리(MLF) 동결
- 골드만삭스, AI가 향후 10년간 유가 억제에 나설 듯
- 골드만삭스, 2024년 세계경제 '기대 이상' 전망
- 中인민은행의 고민, 경기 회복 완만... 위안화 약세 지속
- 외환 플랫폼 ‘스위치원’, 출시 1년 만에 누적거래 2,000억 돌파
- 일본 중앙은행, 초완화 통화정책을 유지
- 아시아 통화 평가절하 추세 완화…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