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다각화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는 평가
AI를 글로벌 열풍은 이미 민간과 상장사의 밸류에이션 상승 유도

19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인공지능(AI) 투자에 약 400억 달러(한화 약 53조 276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할 계획인데, 이는 사람들의 삶과 일하는 방식을 바꾸기 시작한 기술을 둘러싼 골드러시의 최신 징후다.
공개적으로 언급할 권한을 부여받지 않은 이들은 사우디 공공투자펀드 대표가 최근 몇 주 동안 미국 실리콘밸리의 최고 벤처캐피털 중 하나인 안드레이슨 호로위츠(hrowitz)사와 다른 금융기관들과 잠재적 파트너 설립을 논의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 몇 사람들은 이런 계획들이 여전히 바뀔 수 있다고 귀띔했다.
설립 예정인 테크펀드는 사우디를 세계 최대 인공지능 투자국으로 만든다.
또한 석유 생산량이 많은 이 나라의 글로벌 비즈니스 야망과 경제 다각화 및 보다 영향력 있는 지정학적 참여자가 되기 위한 노력을 보여줄 것이다.
중동 국가는 9000억 달러(한화 약 1198조 5300억 원) 이상의 자산을 보유한 국부펀드를 통해 이러한 경제 다각화 목표를 달성하고 있다.
이 관계자는 "안드레이슨 호로위츠 회장이 할 수 있는 역할과 인공지능(AI) 투자 기관이자 공동 창업자인 빈 호로위츠 회장이 사우디 펀드매니저의 친구"라고 말했다.
400억 달러의 자금조달 목표는 미국 벤처캐피털이 통상적으로 조성하는 액수를 무색하게 만들며 오랫동안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스타트업 투자펀드로 군림해온 일본계 컨소시엄인 소프트뱅크그룹에도 밀릴 것으로 보인다.
월가 은행의 도움을 받아 조성되고 있는 이 사우디 펀드는 이미 넘쳐나는 자금 업종에 새로 진입할 잠재 투자자가 될 것이다.
낙관적인 투자자들이 경쟁적으로 다음 엔비디아나 오픈AI 연구센터를 찾거나 설립하면서 AI를 둘러싼 글로벌 열풍은 이미 민간과 상장사의 밸류에이션까지 끌어올리고 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 안트로픽은 1년 만에 70억 달러 이상을 조달했는데, 벤처캐피털 업계에서는 거의 들어본 적이 없는 엄청난 규모의 자금 조달이었다.
인공지능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비용은 매우 높다.보도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AI에 필요한 칩 제조를 추진하기 위해 UAE 정부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지원받으려고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에 따르면 사우디 대표는 잠재적 파트너들에게 차세대 컴퓨팅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점점 더 없어지고 있는 칩 제조업체와 비싸고 거대한 데이터 센터를 포함한 인공지능 관련 스타트업 기업을 지원하고 싶다는 사우디의 희망을 언급했다.
심지어 사우디는 자체 인공지능 회사 설립까지 고려하고 있다.
이들 중 2명은 사우디의 신규 투자가 2024년 하반기에 시작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400억달러 규모의 재단은 사우디 정부와 안드레이슨 호로위츠사를 각종 인공지능 관련 사업을 독점하는 경쟁의 핵심 플레이어로 만들었다.
일부 국제 상권은 사우디의 막대한 금융 영향력과 늘어나는 포부 때문에 1971년 설립된 사우디 공공투자펀드의 일거수일투족을 주시하고 있다.
관련기사
- 일본 소기업 도산 기업의 90%차지... 작년 대비 36% 급증
- 연준, 물가 압력 서서히 완화... 3차례 금리 인하 전망 유지
- 핀란드, 7년 연속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1순위
- [역사 탐구] 명 쟤상 유성룡과 삼촌에 얽힌 일화
- 세계 최대규모 ‘애너하임 국제식품박람회’서 3600만 달러 수출 상담 성과
- 2월 중국발 미국향 컨테이너 운송량 28%↑
- 사우디 아람코, 2024년 1분기 순이익 14.5% 감소
- 사우디, 7월 대미 석유 공급 삭감 계획
- 일본 제조업 거물의 순이익이 최고치를 경신
- 전 세계 총 부채가 경제 산출량에 근접
- 베네수엘라, 브릭스 곧 가입할 것
- 해외 필리핀인, 국내로 송금 최다 기록 지난해 대비 3% 증가
- 사우디, 석유생산 능력 확대 포기
- 2024년 필리핀, 세계 최대 쌀 수입국 될 듯
- 유엔 데이터, 작년 전 세계 외국인 직접 투자가 3% 증가
- 러 외무장관, "30개국 가까이 브릭스 가입 희망"
- 사우디 광물자원 평가 2조5000억 달러로 두 배 증가... 석유 의존형 경제 다각화에 도움
- 세계 10대 산유국 순위, 미국 다시 1위
- 요르단 무역수지 적자 2023년 10개월 만에 9% 감소
- 지난 1년 반 동안 스페인의 군비 수출 대폭 증가
- 프랑스, 중동서의 영향력 확대 모색... 영향력이 눈에 띄게 커져
- 브라질, 캐나다 제치고 세계 9위 '경제 대국' 부상
-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대기업 아람코, 파키스탄 기업에 투자
- 사우디 ETF, 홍콩에 상장... 아시아 최초 사례
- 말레이시아, 중국과 인도 여행객 '30일 무비자' 조치
- "아쉽다, 부산" 2030 세계박람회 부산 유치 실패
- 삼성전자, 佛 파리에서 엑스포 유치 총력전 지원
- 허깅페이스, 인공지능 기반 웹 앱 개발 도구 ‘오픈AI-그라디오’ 공개
- 오픈AI의 AI추론칩 개발 ‘TSMC・브로드컴 참여’
- AI 스스로 제어하고 작업…오픈AI 곧 'AI 에이전트' 출시
- 엔에스이엔엠, 실리콘밸리 기반 TYK그룹과 협업 나서... "북미 시장 진출 시동"
- 소프트뱅크, 미국 전역에 AI 산업단지 조성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