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위는 러시아가 차지
OPEC과 러시아의 대폭적인 감산에도 브렌트유 가격은 80달러 밑돌아

석유 업계에 변화가 일고 있다고 스페인 이코노미스트지가 3일 보도했다. 2024년 미국은 다시 세계 최대 원유 생산국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올해 석유 시장의 시작은 거의 예측하지 못한 분석가들이 있다. OPEC과 러시아의 대폭적인 감산에도 불구하고 브렌트유 가격은 여전히 80달러를 밑돌고 있다.
OPEC+ 이외의 산유국들은 이미 OPEC+의 감산을 상당 부분 상쇄하는 데 성공했다.
원유 가격은 OPEC의 희망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일반적으로 생산 비용이 더 높은 국가에서 석유 채굴을 늘리도록 자극할 만큼 충분히 높다.
원유 가격이 폭락하지 않는 한 이런 상황은 2024년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국제에너지기구(IEA) 보고서는 미국이 올해 1분기 원유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량이 하루 약 1963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2위는 하루 1365만 배럴의 원유 및 파생상품을 생산하는 러시아였다.
제재에도 불구하고 모스크바는 석유, 디젤 및 기타 파생 제품을 시장에 출시할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
역대 1위 사우디아라비아는 하루 902만 배럴로 3위를 달리고 있다.
4위는 캐나다로 2024년 상반기 생산량은 하루 약 584만 배럴로 예상된다.5위는 중국으로 생산량은 하루 434만 배럴이다.
이라크는 6위로 OPEC 감산의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2024년에는 하루 생산량이 429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7위는 또 다른 미주 국가로, OPEC의 감산을 계기로 석유 생산을 늘리고 시장 점유율을 선점한 브라질이다.
IEA는 브라질의 2024년 상반기 생산량이 하루 약 377만 배럴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있다.
8위는 아랍에미리트(UAE)로 하루 320만 배럴을 생산한다.
9위는 이란이었다.테헤란의 석유 생산량은 OPEC 회원국임에도 불구하고 증가했으며 최근 5년 동안 최고 수준에 도달했다.
이란의 생산량은 몇 달 만에 하루 210만 배럴에서 현재 310만 배럴로 50% 증가한 것으로 추정돼 OPEC의 다른 회원국 생산량 감소를 일부 상쇄했다.
10위는 또 다른 단골손님인 쿠웨이트로, 영토가 작지만 최근 몇 년간 이란보다 순위가 높았다. 쿠웨이트의 생산량은 하루 257만 배럴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파인브이티, 제주대-한국핀테크연합회와 hyper ABC 제주포럼 개최
- 中 전기차 업체 80%는 연간 판매 목표 미달성...산업 구조조정 가속화
- 2024년 세계경제 전망
- 2024년 전 세계 76개국, 역사상 최대 인구가 참여하는 선거
- 상하이항 컨테이너 물동량 14년 연속 '세계 1위'
- 글로벌 신설 유니콘 회사 수 5년 만에 저점
- [비전 인사이트] 2024년 통상 환경 '불확실성 증대'..."운외창천"을 위해 다같이 지혜 모아야
- OPEC,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상향 조정... 중국·인도·미국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어
- 사우디, AI 투자펀드 400억 달러 조성 추진
- 모스크바 재외선거 투표율 82.67%
- OPEC 국가들, 하루 220만 배럴의 자발적 감산을 12월 말까지 연장
- 지난주 유가, 경기침체 가능성에 대한 우려로 배럴당 75달러에 육박
- 사우디-중국-이란 공동 3자 위원회 개최
- OPEC+, 회의 개시… 석유 생산 추가 감축 논의
- 이란, 1월 13일 스위스에서 프랑스·영국·독일과 핵 회담을 가질 예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