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난민기구(UNHCR)는 30일(현지시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현재 4백만 명 이상의 난민들이 우크라이나를 탈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에서 가장 큰 규모의 난민 위기가 발생한 셈이다.
새로운 수치는 UNHCR 홈페이지에 게시되었다.
전쟁 발발 이후 UNHCR은 예측을 계속 재평가하고 있지만 약 4백만 명의 사람들이 우크라이나를 탈출할 것으로 예측했다.
필리포 그란디 유엔난민고등판무관은 이날 트위터를 통해 러시군이 우크라이나 국경을 넘어 우크라이나로 진입한 지 5주 만인 현재 400만 명의 난민들이 발생했다고 30일(현지시간) 아랍뉴스가 밝혔다.
그란디는 서부 도시인 르비브에 머물며 "이 무의미한 전쟁으로 피해를 입고 실향민들에게 지원을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UNHCR 팀과 그 파트너들은 대피한 사람들을 위해 보호, 긴급 대피소, 현금 지원, 핵심 구호 물품 및 기타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230만 명 이상이 폴란드에 도착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른 나라로 이동을 했다. 루마니아에는 60만8천명 이상이, 몰도바에는 38만7천명 이상이, 헝가리는 2월24일 전쟁이 시작된 이래 약 36만4천명이 헝가리에 입국했다.
구호단체 직원들은 최근 며칠 동안 많은 사람들이 전쟁 상황을 기다리면서 그 수가 줄어들었다고 평가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협상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쟁이 장기화 되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측으로 점차 난민 행렬은 줄어드는 경향으로 파악되고 있다.
약 650만 명의 사람들이 우크라이나에서 거주하던 집에서 탈출(이탈)을 시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관련기사
- 우크라 협상 실망감에 주가↓ 유가↑... 나스닥 1.21% 하락, WTI 3.4% 상승
- [비전ON] 한국 · 태국 사증면제협정 다시 시행 ('22.4.1.부터 시행)
- [비전ON] 중국 부자, 자본을 싱가폴로 빼돌리는 현상 심화
- 도예가 김진성 작가, 국가대표선수촌에 '달항아리' 작품 기증
- 시리아 구호단체 ‘화이트 헬멧’, 난민 대우에 대한 ‘이중 잣대’ 주장
- [비전ON] 필리핀, 국경 재개방 앞두고 마약 단속 강화
- 러시아-인도, 양자 ‘지불 시스템’ 구축 구상 중
- 독일, 3월 CPI 40년 만에 최고...전년대비 7.3%
- 바이든, 주택의 에너지 효율 위해 31.6억 달러 투입
- 독일, 경기 악화로 고용 분위기 침체... 실업자 수 증가세
- 독일로 대량의 난민 밀려들어와... 지난해 인구 1.3% 증가
- 지난해 실향민, 세계 7000여만명...'사상 최대' 수치
- 동유럽 국가들, 빚더미에 올라앉다
- 러-우크라 분쟁 연대의 희생양이 된 아프리카
- EU 인구, 금세기 말에 "대폭 감소" 전망
- 우크라이나 드니프로 강의 기적
- 유럽 내 난민 신청 대기 약 100만 명, "2016년 이래 최고"
- 러시아-우크라 전쟁, 독일의 '주택 부족 문제' 악화 시켜
- 미국 워싱턴포스트 "2023년 주목해야 할 세계 5대 선거"
- 독일, 상주인구 8400만명 돌파... 작년 순유입 인구 최고치
- 독일, 부동산 가격 하락추세... 2010년 이래 처음
- 세계은행, 우크라 충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경제에 심대한 타격 예측
- 독일 통계청, 우크라이나 난민 독일로 대폭 이주... 인구 최대 증가
- 와디즈 국내 첫 NFT 펀딩 기획 회사, NFT 월드
- [NFT 매거진] 세계 최초 클래식 NFT 완판
- [기고] 우크라 전쟁의 전황과 그 여파
- 우크라 사태로 아프리카 유학생의 '진로 이슈화"...유럽으로 전학 쉽지 않아
- [비전ON] 국제노동기구, 우크라 침공 이후 일자리 480만 개 소실
-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 하향조정...‘스태그플레이션' 위기 우려
- 전 세계 국내 실향민 수 사상 최고치… 2024년 말 8,340만 명 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