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심리, 주식·채권 상대강도 등 모두 펜데믹 이후 최저 수준

12월 이후 중화권 증시는 예상을 상회하는 약세가 지속되고 있다.
5일 아태 증시 약세 속에서 중화권 증시는 북경거래소만 플러스, 역외시장 숏배팅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국 특유의 악재관련 전병서 중국금융경제연구소장은 아래와 같이 분석했다.
(1)4/4분기 경기•실적 예상하회 우려, 정책(부동산) 대응 속도 엇박자(위안화와 증시 디커플링)
(2)인민은행 타이트닝 우려, 국채 발행 증가속 단기 금리 상승세, 증시 유입 자금 제한되고 채권 유입 증가
(3)미국 금리 하락 효과는 외국인 이탈이 상쇄
(4)기관 선호 성장·기술주 악재 (전기차·CRO)
(5)북경거래소 등 소수 중소형지수만 과열, 블루칩은 수익성과 투자심리 악재로 수급 이탈이 과도한 것으로 분석했다.
금일 역시 AI, 게임, 화웨이 밸류체인 차익실현. 기타 본토 대형주와 홍콩증시 빅테크, 소비재 언더 퍼폼 중에 있다.
중국 현재 투자심리는 8월과 유사한 상황이다.
본토와 홍콩 주요지수의 밸류에이션, 수급·투자심리, 주식·채권 상대강도 등 모두 펜데믹 이후 최저 수준이다.
중미 정상회담 이후 시장이 기대할만한 단기 이벤트 공백 상태이다.
다만, 홍콩 금리 하락 및 위험 지표(CDS/불확실성) 하락세는 지수 하단 구축에 결국 일조할 전망이다.
12월 경제공작회의와 디벨로퍼 지원 이벤트 외에 지표 서프라이즈와 추가 정책(부동산) 확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금주 물가와 수출입 지표 발표, 장마감후 PSL(디벨로퍼 대출) 및 추가 정책 발표, 위안화 환율 단기 횡보속 증시 괴리 축소 여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물론, 연초 기업 실적 상향 기대 형성전까지 정책과 이벤트는 하단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진단이다.
관련기사
- [월드e] 인도 시공사 BMC, 3520억 루피 가치 담수화 플랜트 프로젝트 입찰 개시
- [월드e] 인도네시아 마라피 화산, 등반가 12명 실종 이틀째 폭발
- 옐런 미 재무장관, 미-멕시코 공급망 협력 위해 멕시코 방문
- 한인대학생연합회, 9억헤알 매출 MORANA 이재호 대표 초청 멘토링 및 송년회 행사 개최
- 동남아, '등거리 외교' 정책 ... 중·미 동시 투자 유치
- 사우디 ETF, 홍콩에 상장... 아시아 최초 사례
- 홍콩 증시 강세... 2.3% 급등
- 위안화 글로벌 결제 비중 3% 돌파... 5위 등극
- 中 인민은행 2월 정책금리(MLF) 동결
- [기고] 중국 개미들 증권사 주문시스템을 마비시켜…. 사상 최대 거래대금기록
- 중국 경제 조치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이 뜨거워
- [기고] 中 정부, 대표적인 민간기업 알리바바 지원 공개 약속... 침체된 경기 회복차원
- 작년 전 세계 가계 금융자산 약 7% 성장
- 홍콩 주식 가치 저평가 원인
- 엔비디아, 화웨이를 '최대 라이벌'로 경계
- [비전 인사이트] '돈의 흐름'은 향후 경기를 나타내는 '바로미터'이자 '선행지표'
- [월드e] 필리핀, 증권 낙관적 분위기에 비축
- [비전 인싸이트] 중국 경제 어디로 가나- 전병서 중국경제금융연구소장
- [기고] 벽계원(碧桂园)이 쏘아올린 중국 내수경기의 Turning Point
- 골드만삭스, 중국은행들 신용등급 강등
- 中증시 후반기 첫날 상승마감... 3분기 '한 자릿수 성장' 전망
- 알리바바 대형 구조조정 발표 후 주가 14.3% 급등
- 아시아증시, 일제히 하락... 반면 소비심리 호조로 美 증시 소폭 상승
- 테슬라, 강력한 도전자는 BYD와 전기차 스타트업 3인방
- [기고] 아시아로 외국인 자금 러쉬, 주목해야할 지표는 Dollar Index
- [월드e] SCMP, "외국인, 中주식 사재기...5년 만에 가장 빠른 속도"
- [기고] 중국 앤트금융그룹(蚂蚁集团) 지배구조 조정....마윈은 어디로 갔을까?
- 중국의 3대 빅테크기업의 설비투자 확대 주목해야... '기술패권' 차지 의도
- 10월 첫째 주 中휴대폰시장 시장점유율 1위는 화웨이
- 中인민은행의 고민, 경기 회복 완만... 위안화 약세 지속
- [팩트체크] BTC와 나스닥 ‘디커플링’ 시 BTC 목표 가격은 10만 달러
- [경제IN] 화웨이의 반격, 메기효과 반응인가
- 중국, 미국 국채 보유량 3위로 하락… 20여 년 만에 영국에 추월당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