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국가 1200만 명이 구호 및 보호가 필요
향후 이웃 국가로 피신한 난민 400만 명 예상
유럽 최대 '난민 위기' 발생 전망

국제연합(UN) 기구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급증하는 인도주의적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긴급 지원금 17억 달러(약 20조 5000억원)를 요청했다고 1일(현지시간) 알자지라가 보도했다. 러시아 침공으로 우크라이나를 떠난 사람들과 그곳에 남아 있는 사람들을 돕기 위해 긴급히 요청한 지원 자금이다.
UN은 우크라이나의 1200만 명이 구호 및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앞으로 4백만 명 이상의 우크라이나 난민들이 이웃 국가들에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와 관련 마틴 그리피스 인도주의 담당 사무차장 겸 긴급구호조정관은 28일 제네바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위기가 매우 빠르게 악화됐다"라면서 현재가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 가장 어두운 시간"이라고 전했다. 긴급 구호와 보호가 필요한 수백만 명의 일반 우크라이나인들과 함께 '연민과 연대'로 다가가 "전쟁 초기의 충격과 불신, 불확실성을 전환시켜 주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구호 자금의 최대 40%는 현금으로 직접 사람들에게 분배될 것으로 알려졌다. 구호 프로그램에는 또한 식량, 물, 위생, 의료 및 교육 서비스 지원, 손상된 집을 재건하기 위한 대피소 지원도 포함되어 있다. 이 계획에는 또한 당국이 실향민들을 위한 교통 및 수신 센터를 유지하고 설치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엔난민기구(UNHCR) 사무총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러시아의 군사 공세가 계속되고 더 많은 도시지역이 타격을 받을 경우 "우크라이나에서 더 많은 취약계층이 피난행렬에 동참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지금까지 우크라이나에서 이웃 국가로 피난한 인원은 67만7000명의 사람들을 기록했으며, 그 중 절반은 현재 폴란드에, 약 9만 명의 난민들이 헝가리에 있었고 몰도바, 슬로바키아, 루마니아와 같은 다른 이웃 국가들에도 수만 명이 있다고 덧붙였다.
UNHCR은 최근 하루 우크라이나 난민 총수가 15만 명이 늘었다는 등 "금세기 유럽의 최대 난민 위기가 될 수 있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 팔라듐, 대러 제재로 인한 공급 우려에 7개월 만에 최고치
- [월드e] '코로나 확산' 베트남, 검사 키트 가격 상승에 제동
- 아프리카, 러시아 가스 공급 대안? 인프라 부족과 현지 치안이 걸림돌
- [비전ON] 우크라 사태, 국제 밀 가격 '급상승'...중동·아프리카 ‘식량 대란’우려
- 이탈리아, 인텔 등 반도체 제조업체 유치... "2030년까지 40억 유로 투자" 계획
- 美, 러시아산 알루미늄에 200% 관세 부과 검토
- 영국 중앙은행, 곧 불가피한 금리인상 단행할 것
- 미국 워싱턴포스트 "2023년 주목해야 할 세계 5대 선거"
- 인도네시아, 수출입 대금에 우대금리 ... 외화 유치 전략 일환
- 러시아, 미국 등 서방의 제재 속에도 '나름 선전'
- 유네스코, 우크라이나 오데사 '세계유산' 등재
- 세계은행, 올해 러시아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3.3% 전망
-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유럽 각국이 우주 비행과 국방비 증가하도록 자극
- 미국 소비자가전쇼(CES), 러시아 업체 참가 거부
- 우크라이나 전쟁, 세계 식량위기 심화... 곡물가격 10년 만에 최고수준
- 2023년 유럽 경제 전망... 인플레이션과 적자 리스크에 ‘암울'
- EU, 보스니아에 후보국 지위 부여... 우크라이나 전쟁 후 급진전
- 독일, 인력난-고령화에 ‘대량 이민제’ 도입 추진
- 베트남, 첫 국제 국방전람회 개최... 무기 구매 루트 다양화 계기
- 독일 매체, "2023년 황금은 다시 빛날 것" 전망
- 러시아, 석유 가격 상한선 합의... 우크라이나 "30불" 주장
- 아시아 각국, 밀 부족 위기 직면...밀 소비량 주식 쌀에 근접
-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G20 개최 총력
- 러시아, 대중 천연가스 코크스 최대 수출 기록
- 바이든 국가안보전략 발표, “러시아는 즉각적인 위협, 중국은 유일한 경쟁자”
- 일론 머스크 트위터 인수 재진행... 테슬라 주가 급락에 '직격탄' 되나?
- 세계은행, 우크라 충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경제에 심대한 타격 예측
- IMF, 식량 위기 대응 긴급 자금 지원 준비... 90억 달러 예상
- 독일 통계청, 우크라이나 난민 독일로 대폭 이주... 인구 최대 증가
- 푸틴 "러시아, 올해 식량 생산량 최고치 기록할 듯"
- 전 세계 국내 실향민 수 사상 최고치… 2024년 말 8,340만 명 도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