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GDP, 2013년 이후 최고 수준인 1만5930달러 기록
러시아가 지난해 세계 10대 경제대국에 복귀
최근 8년 만에 처음

2022년 러시아의 1인당 GDP가 사상 최고 수준에 근접할 것이라고 러시아 위성통신이 20일(현지시간)보도했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이 국제통화기금(IMF)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러시아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1만5000달러(한화 약 1963만 원)를 넘어 2013년 사상 최고치에 근접했다.
지난해 러시아의 1인당 GDP는 1만5440달러로 한 해 동안 22.3% 증가해 2820달러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DP는 2013년 이후 최고 수준인 1만5930달러를 기록했다.
연구 대상 100개국 중 74개국의 1인당 GDP는 지난해 증가했다.
가이아나(89.1%), 아르메니아(40.6%), 그루지야(33.4%), 쿠웨이트(32.7%), 세이셸(31%) 등이 가장 강하게 성장했다.
25개국의 1인당 GDP가 감소했으며 그 중 19개국이 유럽에 있다.
1인당 GDP 감소폭은 일본(15.2%) 스웨덴(8.6%) 한국(7.9%)이 가장 컸고 헝가리 프랑스 칠레 핀란드 룩셈부르크 독일 이탈리아도 10위 안에 들었다.
위성통신은 앞서 러시아 통계청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가 지난해 세계 10대 경제대국에 복귀한 것은 최근 8년 만에 처음이라고 보도했다.
관련기사
- 엔화 '안전통화' 위상 흔들려... 엔화 구매력도 저하 추세
- 中바이어들 호주 부동산 시장에 복귀
- 김운용스포츠위원회, ATA 업무협약식
- 미국과 EU, 대러 제재 강화... '돈줄' 더 옥죄는 분위기
- 필리핀 DTI, "기본 상품 가격 인상 계획 없음"
- AUA Holdings Group, 디지털경제 뜨는 베트남 "진출 시동"
- 브라질, 조류독감 첫 발견... 180일 동물위생 비상사태 선포
- [월드e] 몽골 신용등급, 'B' 유지
- 노르웨이, 국내총생산 2% 국방비 인상
- 세르비아, 유럽 최고 투자 지역으로 부상
- 구매력 평가로 계산시, 브릭스 국가의 경제 총량은 이미 G7 초월
- 인니, 작년 경제지표 '긍정적' 평가 받아... 올해도 약 5~6%의 GDP 성장 달성 전망
- 獨국방장관,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국방비 GDP의 최소 2% 차지" 주장
- '브렉시트' 이후 몰락하는 영국 경제... 12년만에 총파업 사태 직면
- 푸틴 "러시아 경제 서방제재에도 불구하고 올해 성장할 것"
- 세계은행, 올해 러시아 경제성장률 마이너스 3.3% 전망
- IMF, 글로벌 경제 파편화 고착… 세계 GDP 7% 손실 불가피
- 베트남, 25년이래 가장 빠른 성장률... 향후 성장세 둔화 전망
- 80% 경제학자들, "영국은 G7 중 가장 심각하고 장기적인 경기 침체에 직면할 것"
- 인도 스타트업, 6년만에 거의 186배 고속 성장세
- 트뤼키예, 러시아산 '천연 가스' 할인된 가격으로 구매 원해
- 모건스탠리, 인도는 2027년 세계 3위 경제대국 부상 예측
- 중국-중앙아시아 교역액 20년간 24배 증가
- 국제금융협회, 신흥국 31개국 채무 100조 달러 육박
- 세계은행, 우크라 충돌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경제에 심대한 타격 예측
- [월드e] 중국 3분기 부터 경기 호전 예상... 경기 부양책 효과 나타날 듯
- 스웨덴, 나토 가입 신청 딜레마
- 아르메니아 총리, 국가 안보 러시아 의존하는 것은 ‘전략적 실수’
- 아르메니아 은행 제재차원에서 '러시아 지불 업무' 정지
유정우
seeyou@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