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5월 이후 35개월 연속 흑자
1분기 말레이시아의 무역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
3월 말레이시아-아세안 교역액은 전체 교역량의 27.9%

말레이시아 투자·무역·공업부에 따르면 2023년 3월 무역흑자는 2022년 같은 기간보다 266억9000만 링깃(약 8조 115억 3730만 원)으로 치솟았다.2020년 5월 이후 35개월 연속 흑자다.
3월 한 달 동안 이 나라의 총 무역액은 1.6% 감소한 2327억2000만 링깃으로 수출액은 1.4% 감소한 1297억1000만 링깃, 수입액은 1.8% 감소한 1030억1000만 링깃으로 떨어졌다.
2023년 2월 대비 3월 무역총액 13.5%, 수출 15.5%, 수입 11.1%, 무역흑자 36.4%로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다.
올해 1분기 말레이시아의 무역 총액은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6448억7000만 링깃, 수출은 2.8% 증가한 3546억3000만 링깃, 수입은 3.7% 증가한 2902억4000만 링깃으로 집계됐다.
무역흑자는 1% 감소한 643억9000만 링깃을 기록했다.무역액, 수출액, 수입액은 이 단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2022년 4분기에 비해 무역액은 10.2%, 수출은 9.8%, 수입은 10.7%, 흑자는 5.2% 감소했다.
3월 생산물품 수출은 전체 수출의 84%인 1089억600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0.4% 감소했다.
3월 수입액은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한 1030억1000만 링깃을 기록했다.
2023년 1분기 수입액은 2902억400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3.7% 증가, 중간재 수입액은 1510억4000만 링깃으로 3.7% 감소, 생산재 수입액은 273억 링깃으로 0.3% 증가, 소비재 수입액은 245억5000만 링깃으로 0.8% 증가했다.
3월 말레이시아-아세안 교역액은 전체 교역량의 27.9%(약 648억4000만 링깃)로 전년 동기 대비 1.4% 감소했다.
수출액은 379억 8000만 링깃으로 3.4% 감소했다.아세안으로부터의 수입은 268억6000만 달러로 1.6% 증가했다.
2023년 1분기 인도네시아와 아세안 무역액은 1762억3000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증가했고 수출액은 1057억7000만 링깃으로 6.3% 증가했다.
아세안 수입은 704억6000만 링깃(21조 1500억원) 으로 1.1% 늘었다.
관련기사
- EU, 첨단기술 제품 러시아 영토 통과 금지 추진
- 피치 보고서, "전 세계가 20년 만에 최악의 쌀 부족에 직면할 것"
- 프랑스, 가계에 대한 '가스 가격 상한선' 폐지
- 지켜지지 않는 수단 「정전 합의」
- 젤렌스키 대통령, 대규모 반전 공세
- 윤석열 대통령, 12년만의 미국 국빈 방문
- 동남아 전기 오토바이 시장, 더 넓어질 전망
- 인도 쌀 수출 통제... 아시아 쌀값 급등 15년 만에 최고
- 말레이시아 섬유, 보석상, 이발사 분야 외국인 근로자 채용 증가
- 동남아 젊은이들 알뜰폰 선호... 응답자의 4분의 3 이상이 '중저가' 휴대폰 선호
- 보잉, 부품 문제로 '납품계획 차질' 전망
- 인도, 양파에 40% 수출관세 부과... 국내 공급 개선위해
- 동남아 각국이 경쟁적으로 외자 유치... 특히 전기차 생산 분야
- 중국 올해 민항 여객 수송 규모가 월별 최고 기록... 여러 항공사가 연간 실적에 자신만만
- 태국, 인플레이션율 아세안 최저 수준 기록
- 태국, 달러에 대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위안화의 사용을 촉진
- [월드e] 베트남 수제 맥주는 줄줄이 아시아 시장에서 '히트'중
- 이 높은 범죄율 국가, 어떻게 세계 경제의 샛별이 되었는가?
- [월드e] 관광객은 돈의 70%를 밤에 쓰지만 베트남 관광은 여전히 '빈틈'이 많다
- 일본의 금리 정책, 세계 영향 우려
- 라이브 커머스, 동남아시아에서 빠르게 발전
- 동남아, 도시철도 발전 추세… 중국·일본에 대량 발주
- 아시아 노동 이민자, 코로나 이후 다시 활발
- 태국 VS 베트남, 동남아 여행지의 강자는?
- 폭염에도 뇌졸중 대비 주의사항
- 인도, 대외 경제 정책에 새로운 전환 준비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