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디 기업가치 1조 4,000억 으로 평가
거래 규모는 4조 800억 정도

글로벌 간편결제 기업 페이팔(Paypal)이 일본의 선구매 후지불(BNPL, Buy Now Pay Later) 스타트업인 ‘페이디(Paidy Inc.)’를 인수한다.
인수금액은 27억 달러(원화 약 3조 1,500억 원) 규모다.
지난 2010년에 설립된 페이디는 구매자가 상품을 먼저 받은 뒤 대금을 지불하는 후결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CB 인사이트(CB Insight)는 페이디의 기업가치를 12억 달러(원화 약 1조 4,000억 원)로 평가했으며 페이디 사용자들의 거래 규모를 35억 달러(원화 약 4조 800억 원)로 평가했다.
BNPL은 신용도가 낮아 신용카드(Credit Card)를 만들지 못하는 청년 세대들의 새로운 지급결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미국 온라인 결제서비스 ‘스퀘어(Square)’도 호주의 BNPL 기업 ‘애프터페이(Afterpay)’를 290억 달러(원화 약 33조 원)에 인수하면서 BNPL 시장이 핀테크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관련기사
- IMF, 중동 석유 판매국들 2026년까지 1조 3천억 달러 이상 수익 낼 것
- [중국망] 중국 주식 속보 (2022년 5월 18일)
- [Inside] IBM, ‘2022년 IBM 글로벌 금융 사기 영향 보고서’ 발표
- [Inside] 필리핀, 모바일 결제에 "가상화폐 적용"...아세안 "선두 주자" 자처
- 미국 신용카드 3사, 러시아내 영업 중단 선언… 가상화폐 거래소도 합류
- 페이팔도 러시아 서비스 중단...'금융 고립' 유도
- 비자 카드, 지난 4분기 암호화폐 결제액(Crypto-Linked Payment), "무려 25억불"
- 美 영화관 체인 AMC,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 도입
- 텐센트 지원 분석 스타트업 ‘앰플리튜드’, 美 증시 직상장 추진
- 비트 코인의 화려한 귀환..."2000만원 돌파 했다"
- 美 대선 여파에 비트코인 가격 급등
- 신용결제 이제 휴대폰에 양보하세요
- 신한카드, 단일 금융사 최초 디지털 회원 1천만 돌파
- [이슈 분석] 디지털·융합 시동 거는 국내 유통사들...이커머스 지각변동 촉발되나
- [지속되는 가상화폐 논란①] '거품' 경고에도 되살아나는 비트코인 열풍
- 마윈 회장 "카메라는 모든걸 수집한다" 발언후...'로봇기자'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 우려 이어져
- [유니콘 기업 속속 배출하는 동남아②] 싱가포르, 도시국가 한계 넘어 '커넥토그래피' 강국 도모
- IBK기업은행, 코트라와 해외전자상거래 서비스 고도화 MOU
- 코트라 "동남아 온라인 시장 9년간 12배 성장... 알리바바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 투자확대"
- AI 기술, B2C 분야 투입 확대... 물류에서 배송 결제에 가상비서까지 서비스 혁신 '가속'
- 페이팔, 구글페이 연동계좌에서 부정송금 이슈 ‘1,320만 원 규모’
- 日 페이디, 아마존의 결제 옵션으로 서비스 제공
- 페이팔 아이폰 앱에서 ‘페이팔 코인’의 코드 발견? …“해커톤 일부 포함됐을 뿐….”
- 페이팔, 중국 진출 위해 고페이 지분 70% 매입
- 페이팔, 체크카드 없이 송금하는 서비스 출시
- 페이팔, 스웨덴 핀테크 기업 ‘아이에틀’ 2조 원에 인수합병
- 금감원에 공시된 간편결제 수수료 살펴보니 ‘우아한 형제들, 3%로 가장 높아’
- 제로페이의 성공, 지역사랑상품권과 언택트 타고 가속화
- 대만 간편결제앱 ‘PX페이’, 한국 시장 진출
- 2024년 하반기 간편결제 패자는 ‘네이버페이’…만족도는 ‘삼성페이’
- 썸업, 미국 간편 결제 서비스 시장 진출 위해 파이브스타스 인수 ‘페이팔・스퀘어와 경쟁’
최규현 기자
kh.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