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가격 충격이 인플레이션 증가 요인

독일 경제가 지난 해 러시아 가스 공급이 중단된 이후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지만, 에너지 쇼크와 재정 여건의 긴축으로 인한 악영향은 최근 몇 개월 동안 경제를 불황으로 몰아넣고 있다.
특히, 독일은 가스를 절약하고 에너지 공급을 확보하기 위한 강력한 노력과 덜 추운 겨울 날씨 덕분에 광범위한 에너지 부족이라는 매우 불리한 시나리오를 피했다.
에너지 가격 충격이 기존의 팬데믹 관련 병목 현상에 추가되면서 인플레이션 2023년에는 5.2%, 2024년에는 2.8%, 2025년에는 2.1%로 점점 감소해 안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독일 은행 및 보험 시스템의 전반적인 자본 및 유동성 상태는 견고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 초 미국등 다른 선진국의 은행 혼란으로 인해 금리 상승과 관련된 잠재적인 금융 안정성 위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에너지 쇼크와 긴축 금융 여건은 2023년 연간 국민총생산(GDP) 성장률을 0.9%, 2024년에는 1.5%, 2025년에는 1.8%로 전망했다.
관련기사
- 美상업용 부동산 위기, 재택근무와 고금리로 공실률 높아
- 러, 아프리카로 '새로운 피벗' 찾아... 영향력 한계
- 국제올림픽위원회의 파리 올림픽 초청장, 보내지 않은 3국가?
- 중국에는 왜 해외여행 붐이 일지 않았을까
- 美2분기 경제가 가속 성장... 2.4%로 예상보다 높아
- EU 경제 '이중 위기' 충격
- 윤석열 대통령과 각국 지도부, 베트남과 협력 전망에 ‘긍정’
- 독일에서 신형 지열 발전 기술, 세계 최초로 상용화
- 독일, 침체된 경제 위해 기업세 대규모 감세 추진
- 독일 연구기관, 2023년 독일 경제 0.5% 위축 전망
- 독일 제품 대중국 수출 감소... 중요성도 줄어
- 멕시코, 2022년 세계 최대 제조업-수출국 7위 등극
- [비전 인싸이트] '수서양단' 같은 미국의 대중정책, "징심정려 자세"로 대응해야
- 유럽 경제 수치 계속 악화... 2020년 11월 이후 최저 수준
- [기고] '도방고리'의 상징, "선심성 포퓰리즘"
- 튀르키예 물가 급등... "더 이상 관광 천국이 아니다"
- 전 세계 반도체 투자 냉각... 전년보다 16% 감소
- 모디, 앞으로 5년 내 글로벌 경제 "톱3 진입"
- 중국의 고부가가치 공업품, EU에서 수출 우위 점령
- 레바논, 전 중앙은행 총재 은행 계좌 동결
- 독일 매체, 미국 산업의 심각한 '질환' 보도... 기술 인재의 부족
- 독일, 경기 악화로 고용 분위기 침체... 실업자 수 증가세
- 포춘 발표, 2023년 글로벌 500대 기업에 미국이 최다 재탈환
- 中 단체관광 허용, 한국행 중국인 여행객 급증
- 전 세계 주요 상장기업, 2분기 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3% 감소
유정우
seeyou@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