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에는 많은 국가들이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에 처해
성장률은 미국의 0.5 %, 유로 지역의 0.3 %로 선진국에서 급격히 둔화 예상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23년 세계 실질성장률 2.2%로 9월 26일 경제 전망치를 발표했다.
우크라이나 위기로 가속화 된 장기간 가격 상승에 대한 예측은 6 월 이전 예측보다 0.6 % 포인트 낮아졌다.
2021년 12월 현재 전망치와의 하방 편차는 1.0포인트로 확대됐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으로 급격한 금리 인상도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으며, 글로벌 회복 시나리오는 진로를 바로잡으라는 압박을 받고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에너지와 식량 공급 불안을 심화시키고 가격 상승을 촉진시켰다. 유럽에서는 가스 가격이 작년에 세 배 이상 상승하여 10-19 년 평균의 약 10 배에 달했다.
OECD 전망은 인플레이션 압력은 완화되었지만 쇠퇴 속도는 둔화되었다는 것이다. 2021년 3.8%였던 20그룹(G20)의 물가상승률은 2022년 8.2%로 상승할 것이며 2023년에는 6.6%의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실질 성장률은 2023년에 2.2%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것은 순항 속도라고 할 수있는 약 3 % 수준보다 훨씬 낮다. 코로나 바이러스 대유행 이전인 2019년까지 10년간 평균은 3% 이상이었다.
2023년 세계 실질소득은 2021년 12월 현재 예상치보다 2조 8천억 달러(약 400조 엔)가 적을 것이다.
이는 구매력 패리티 측면에서 국내총생산(GDP)의 2%를 조금 넘는 마이너스 수치로, 이는 각국의 생활수준을 반영한다.
국가와 지역별로 코로나 이후 회복을 주도해온 선진국에 갑자기 브레이크가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성장률은 미국의 0.5 %와 유로 지역의 0.3 %로 급격히 둔화 될 것이다.
이 전망치는 3개월 전 전망치보다 각각 0.7%포인트와 1.3%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일본은 0.4%포인트 하락한 1.4%를 기록했다.
독일은 특히 심각하다. 2.4 포인트의 상당한 하향 조정으로 마이너스 0.7 %로 떨어질 것입니다. 주요 에너지 원 인 가스 공급을 위해 러시아에 의존하는 비용은 상당하다.
인플레이션과 싸우기 위한 빠른 금리 인상이 경제를 과도하게 냉각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참가자들은 2023년 말 미국의 정책 금리를 9월 회의에서 평균 4.6%로 예측했다. 이는 우크라 침공 전 2021년 12월 1.6%, 침공 후 2022년 3월 2.8%보다 현저히 높은 수치다.
실현된다면 리먼 위기 이전인 2007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 될 것이다. 미국 금리 선물 시장에서는 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OECD는 현재 경제 전망에 대한 하방 위험이 상당하다고 분명히 밝혔다. 2023년에는 많은 국가들이 경기 침체에 빠질 위험에 처해 있다.
세계 경제 둔화에 대한 우려가 기업들 사이에서 커지고 있다. 주요 반도체 제조업체로 구성된 세계반도체 시장통계(WSTS)는 지난 8월 2023년 시장 규모 전망치를 2개월 전보다 0.5%포인트 하향 조정해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각국의 정책 대응은 점점 더 어려워 질 것입니다. OECD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고가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의 기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표명했다.
재정 지출은 인플레이션 압력을 증가시키고 통화 긴축에 반할 수 있다.
관련기사
- 마카오, 중국 본토 단체여행 재개할 것... 홍콩 및 해외 관광객 격리조치 지속
- 영국 경기 침체 심화... 파운드화 가치 최저점까지 하락
- 에어버스, 중국 항공사와 40대 비행기 구매 계약 체결
- 임산부·수유부를 위한 오메가-3의 조건
- 사우디아라비아판 '아이돌' 장기자랑 인기몰이...대폭적인 문화 예술 개혁개방 징조
- [기고] 재)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 임용과 관련
- [Inside] 美 달러화 초강세로 유가 급락... 수입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경기 위축 압박
- 최기일 상지대 교수, 상호국방조달협정(RDP MOU) 연구결과 발표
- 독일, 인플레이션 상승률...30년만에 최고치 도달
- 독일, 코로나 확산에도 2021년 수출 신기록 달성
- 日 아데카, 대만 첨단 반도체 신규 공장에 260억 투자
- 세계 경제 성장 전망, 무역 긴장과 예산 적자로 불확실성 확대
- IMF, 세계 경제성장률 "올해와 내년 모두 3.2%" 전망
- 동남아 국가 브릭스 급물살
- [비전 인사이트] 한국 부유층의 '엑소더스' 역대 최대, "삶의 질 개선책 강구" 해야
- OPEC, 강력한 석유 수요 전망을 '낙관적으로 유지'
- 올해 전 세계 무역 증가 속도가 두 배가 될 전망
- [비전 인사이트] 한국 경제도 축구도 '뒷걸음질', 모두 정신차려야!
- OECD,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 상향 조정
- 멕시코, 중남미 경제 선두주자로 부상... 미국의 최대 무역 파트너
- [비전 인사이트] 국가 총 GDP와 1인당 GDP에서 일본은 독일에 추월당해... "문제는 노동생산성이다"
- [비전 인사이트] 한국 경제 체질 약화, '근로 의욕' 떨어지고 '일잘러' 줄어
- [비전 인사이트] 골드만삭스가 예상한 '2050년 세계경제순위'에 대한민국은 없다!
- [기고] '현애살수'적인 자세로 낡은 사고 배제
- 독일 경제, 내년에도 경기 침체 지속 전망
- 경제협력개발기구, "2024년 세계경제 성장률 2.7%"...금년 대비 '둔화' 전망
- 싱가포르, "불황을 잘 피하고 있어"... 무역과 자본의 중심지로서 경제 확장세
- 화석연료, 전 세계 에너지 공급량의 82%를 차지
- 서방 금리 인상 재개 글로벌 성장 위협 초래
- OECD, 올해 스페인 성장률 전망치를 2% 이상 예측
- 국제에너지기구(IAEA), 전 세계 석유 '수급 격차' 커질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