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월 2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이 20일 발표한 데이터에서 2024년 한 해 동안 총 382만 장의 여권이 발급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같은 해 말까지 유효한 여권을 보유한 일본 국민은 누적 2164만 명으로, 전체 인구 대비 보유율은 17.5%에 그쳤다. 이는 한국과 미국의 여권 보유율이 각각 40~50%에 달하는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치다.
2024년 여권 발급량은 전년보다 30만 부 증가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인 2019년에 발급된 451만 부와 비교하면 약 70만 부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본의 여권 보유율은 지속적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3년에는 24%를 기록했으나, 2021년에는 20% 미만으로 떨어졌으며, 현재는 인구 6명 중 1명꼴로 여권을 보유하는 수준이다.
전문가들은 일본 여권 보유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엔화 가치 하락과 해외여행 비용 증가를 지목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엔저 현상이 지속되면서 일본인의 해외여행 비용 부담이 커졌고, 주요 여행지의 물가 상승도 여행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일본인이 레저 및 오락 활동에서 해외여행을 제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한편, 일본 여권은 세계적으로 높은 신뢰도를 바탕으로 여러 국가와 지역에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하지만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해외여행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있어 향후 여권 발급 수요가 크게 증가할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국민의 해외여행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관련기사
- 산업통상자원부 승인 사단법인 한중지역경제협회, 기획재정부 공익법인으로 지정
- 필리핀, 원니켈 광산 수출 금지 추진… 국내 가공 산업 촉진 목표
- 월간 나라재정 2월호 바이오 방위산업 전망 특별기고
- [기고] 회덕(懷徳),'아름다운 삶의 자국'을 남겨
- 인도네시아, 9천억 달러 규모 국부펀드 설립 추진
- 테슬라, 유럽 시장 판매 부진과 머스크의 정치적 행보로 주가 폭락
- 일본인의 해외 연결 방식 변화…여권 소지율 감소와 출국 의사 저조
- [비전 인사이트] '글로벌 모범 발전 사례’라는 세계은행의 평가와 여권파워 지수
- 일본, 관광객 '1분 통관' 시스템 내년 도입
- 中하이난 ‘30일 무비자 입국’ 상업, 의료 등 허용
- 중-싱·말레이·태 등 "동남아 관계 강화" 시도... 중국의 영향력 강화 노려
- 아시아 금융중심지 싱가포르 여권 브랜드, 세계 최강... 다른 5개국과 영광 공유
- [월드e] 필리핀, 올해 450만 명의 외국인 방문객 유치
- 상하이 시민 여권 신청자 사상 최대... 해외여행 수요 회복추세
- [월드e] 베트남 ,국제선 회복 가속화... 2023년 2분기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 전망
- [비전ON] 한국 여권, 싱가포르 여권과 함께 192개국 무비자입국 가능 ‘세계 공동 2위’
- [기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국민...높은 도덕성과 시민의식
- [월드e] "베트남 여행 코로나 음성이면 가능해"... 보건국 발표
- [월드e] 베트남 “한국 등 13개국 무비자 입국 허용"... 관광 활성화
- 日 다음 달 1일부터 유학생 등 외국인 신규 입국 허용
- [비전ON] 필리핀, 2월 10일 입국제한 완화 이후 7000명 이상 관광객 방문
- "월성 1호기 수사 무마 위해 윤 총장 찍어낸다" 의혹, 국민의힘도 가세
- '소신 발언'의 아이콘 김해영, "윤미향, 기부금 내역 투명하게 공개해야 해" 일침
- 카를로스 곤회장 탈출 미스터리
- [영상] 홀로그램에 이어 볼륨메트릭까지...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향한 기술의 진화는?
- AI 수요로 78% 성장한 엔비디아 매출, 강력한 가이던스 제시
- 미국, 43개국 대상 비자 제한 검토
- 미국 여권 파워, 사상 최저 순위…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에 추월당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