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시장은 횡보할 것으로 예측
삼성은 2024년 1월 프리미엄 S24 시리즈 출시로 동남아 시장 점유율 1위 탈환
현재 5G 가격 실속, 인공지능 융합 등 적극적인 전략을 채택

동남아 스마트폰 시장에 많은 브랜드와 투자금이 계속 몰리는 가운데 2024년 초 스마트폰 매출이 꾸준히 증가한 것은 다른 지역의 판매 부진과 대비된다.
과학기술시장분석기관 카날리스(Canalys) 전문가인 저우러셴(Le Xuan Chiew)은 2023년 말 정부가 내놓은 인플레이션 대책과 기업의 판촉 활동이 소비자 신뢰 회복과 지출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우 씨는 이 시장 회복의 기회를 이용하기 위해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현재 5G 가격 실속, 인공지능 융합, 생태계 발전 등 적극적인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고 밝혔다.
삼성은 2024년 1월 프리미엄 S24 시리즈의 성공적인 출시로 이 지역 시장 점유율 1위를 탈환했다.
하지만 중국 제조사들은 이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고, 가격 경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출시하면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앞서 2024년 1월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많이 팔린 휴대폰 브랜드 샤오미는 연간 128%의 성장을 달성했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동남아시아와 달리 2024년 1~6주 동안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 감소했고, 이 중 애플은 24% 감소했다.
중국과 미국 등 스마트폰 시장의 성장이 둔화되면서 애플과 화웨이 등 프리미엄 휴대폰 브랜드들이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신흥시장을 모색하고 있다.
카날리스에 따르면 2024년 동남아시아 휴대전화 시장은 7% 성장할 것으로 예상돼 세계 다른 지역보다 훨씬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함께 중국 시장은 1%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북미 시장은 횡보할 것으로 보인다.
카날리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여전히 동남아시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이다.
두 번째로 큰 시장은 필리핀으로 2024년 1월 휴대전화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77% 증가했다. 태국, 베트남, 말레이시아가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 사우디, 석유 생산능력 확대 중단... '설비투자 유연성'에 중점
- 인도와 모두 비EU 국가인 EFTA, 자유무역협정을 체결
- 필리핀, 2023년 외국인 직접 투자액 89억 달러 달성
- 필리핀 중앙은행, 화폐 위조 단속 강화
- 필리핀 대통령, 독일·체코 방문 경제협력 강화
- 中, ‘5천만 톤 식량 생산능력 제고 행동계획(2024~2023년)’ 시행
- 앵커노드, ‘시드 라운드’ 투자 유치, “AI 게이밍 솔루션 도전장”
- 말레이시아, 동남아의 제2의 항구를 확장할 계획
- 인도네시아 발리, '관광세 징수'... 1인당 1만 2765원
- 중국 CPI 3개월 연속 상승... 주민들의 소비 수요 지속적 회복
- EU, 애플에 벌금 20억 달러 부과
- 인도네시아, 글로벌 워터 펀드 설립 추진
- 인도, AI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에 박차
- 애플, 1분기 휴대전화 출하량 전년 대비 9.6% 하락
- 필리핀, 외국인 은퇴자 비자 보증금 인상 검토
- 2024년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 화웨이와 비보 약진… 애플은 소폭 하락
- 中 샤오미, 3nm 칩 개발 성공... 스마트폰 성능과 가격 변화 예고
- 베트남, AI와 반도체 산업 육성에 박차
- 설 연휴 태국 방문 관광객 급증 예상... 태국내 공항마다 총력전
- 필리핀, 인플레이션율 3개월 만에 둔화... 금리 인상 '압력 완화'
- 10월 첫째 주 中휴대폰시장 시장점유율 1위는 화웨이
- 9월 中 휴대폰 출하량 59%↑... 2021년 10월 이후 최고치
- 전 세계 휴대전화 출하량 10년 만에 최저치... 단 애플만 "역주행 전망"
- 식자재 유통 플랫폼 ‘마켓봄’, 식당 매출 분석 서비스 제공
- 베트남, 인공지능 수요 증가로 데이터 센터 투자 급증
- [경제IN] 화웨이의 반격, 메기효과 반응인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