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무역정책 불확실성 주목

일본은행이 19일(현지시간) 열린 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0.5%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일본은행은 지난 1월 회의에서 주요 단기 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한 바 있으며, 이번 회의에서는 추가 금리 조정 없이 현 상태를 유지했다.
이로써 일본은행은 최근 몇 년간 시행해 온 초완화 통화정책을 공식적으로 중단한 상태다.
일본 경제는 최근 3년간 인플레이션율이 중앙은행 목표치인 2%를 상회하거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올해 대기업들이 연속 3년간 대폭적인 임금 인상을 약속하는 등 경제 전반에서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이번 정책 회의에서 일본은행 관계자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은행 관계자들은 트럼프의 무역 정책이 전 세계적으로 하방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일본은행 총재 우에다 가즈오는 지난 2월 말 기자회견에서 "정책 결정을 내릴 때 트럼프의 조치가 세계 경제와 시장, 그리고 일본 경제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일본 경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맞물려 통화정책의 향방을 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일본은행이 당분간 현 정책을 유지하면서도 미국과 글로벌 무역 상황을 면밀히 주시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지멘스, 글로벌 경기 둔화로 6,000개 이상 일자리 감축 발표
- [기고] 만족과 불만족, 자신의 판단기준
- 필리핀 국가수사국, 온라인 도박장에서 한국인 4명 체포
- 태국, 카지노 금지 해제 검토… 경제 활성화 기대와 국민 반대 속 균형 시험대
- 파닉스 시스템, '케이글(K-Geul)', 고려인글로벌네트워크와 "맞손"잡고 ... 교육시스템 유라시아 확대
- EU, 4월부터 철강 수입 15% 감축
- 일본 IT 투자 증가에도 불구, 생산성 저
- 엔화 강세 지속…미국 관세 인상과 일본은행 금리 인상 기대 영향
- 일본은행, 기준금리 0.5%로 인상... 인플레이션 대응 가속화
- CNBC 조사 결과, 일본은행 이번 주에 금리를 인상 예상
- 2025년 아시아 주식시장 전망: 중국 경제와 미국 관세, 한국 정치 위기 등이 주요 변수
- 연준 대폭 금리를 내린 후, 영ㆍ일 중앙은행은 금리 유지 결정
- 전 세계적인 양적 긴축추세, 시장 경보를 울리다
- [월드e] 中, 미국 부채 보유 6개월 연속 감소… 14년 만에 최저치 기록
- 원/엔 환율 최저점 기록... 여행사 수익성 개선 기대감 높아
- 일본 중앙은행, 초완화 통화정책을 유지
- 아시아의 금리 인하가 곡물 가격 상승으로 주춤
- 일본의 금리 정책, 세계 영향 우려
- 외자 엔화 채권 발행액 4년 새 최고치
- 엔화, 대외 구매력 사상 최저로 하락
- 엔화 '안전통화' 위상 흔들려... 엔화 구매력도 저하 추세
- 각국의 중앙은행 금리 인상,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도
- 일본은행, 국채 미실현 손실 83조 9370억 원으로 확대
- 일본, 작년 12월 물가 4% 상승... 41년 만에 최고
- 미 골드만삭스, 일본은행 긴축조치 예고
- 트럼프, 베네수엘라산 에너지 수입국에 25% 관세 경고
- 트럼프의 무역 정책, 글로벌 원자재 시장 흔들다
- 트럼프 관세 정책 여파…글로벌 증시 충격 속 금값 사상 최고치 기록
- 일본은행, 기준금리 동결…경제 성장률·인플레이션 전망 상향 조정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