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평균소비자물가지수 102.1... 전년 대비 2.3%상승
일본 물가지수는 16개월 연속 상승
전기요금이 21.3%, 가스요금이 33.3% 올라

일본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이 20일 발표한 2022년 12월 전국 소비자물가지수(2020년 100, 신선식품 제외)는 104.1로 전년 동기 대비 4.0% 상승했다.
이는 제2차 오일쇼크의 영향을 받은 1981년 12월 이후 가장 큰 폭이며 41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 지수는 16개월 연속 상승했다고 전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을 배경으로 한 자원가격 상승과 엔화 약세로 인한 수입 원자재 상승으로 식품 및 에너지 가격 상승이 지속되면서 가계 경제에 부담을 주고 있다.
세부 품목별로는 전기요금이 21.3%, 가스요금이 33.3% 올랐고, 휘발유 요금도 1.6% 올랐다고 신문은 전했다.
신선식품을 제외한 식품 가격은 7.4% 올랐다. 사료값 급등과 조류독감의 영향을 받은 계란 및 유제품 가격은 9.0% 상승했다.
일본 총무성 관계자는 "물가 상승이 여러 품목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말했다.이 관계자는 2023년 2월 일부 전력회사가 전기요금을 인상하고 철도요금도 조정할 것이라며 "향후 물가 동향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발표된 2022년 전국 평균 소비자물가지수는 102.1로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소비세 인상 영향을 제외하면 1991년 이후 31년 만에 가장 높은 인상폭으로 일본은행이 세운 전년 대비 2% 인상 목표를 넘어섰다.
관련기사
- 中 CATL, 볼리비아 10억 달러 투자... 리튬 자원 개발
- 중국-호주 무역장관 3년 만에 온라인 회담... 양국 관계 해빙 전망
- 트위터 관계자, "머스크 인수 이후 500여 광고주 대량 이탈"
- 독일, 상주인구 8400만명 돌파... 작년 순유입 인구 최고치
- 동유럽 여러 나라에서 폭설... 대규모 정전과 교통사고 발생
- [월드e] 베트남, JETP 체결... 에너지 전환의 중요한 첫 걸음
- 국토부, 철도연과 수소전기열차 시험차량 개발
- 러시아-우크라 협상 가능성, 가상화폐 및 주가 상승
- 대구‧경북 소비자물가 1월 5.3% 상승 ‘대구는 0.8%p, 경북은 0.6%p 상승’
- 일본, 고급 인재 유치... 1년이면 영주권 획득
- 일본, 의료 시스템 개혁 단행
- 외국 관광객 대거 귀환...일본경제 지난 4분기 플러스 성장
- 日 2022년 출생 인구 80만 명 밑으로... "예상보다 11년 앞당겨"
- 외자 엔화 채권 발행액 4년 새 최고치
- 조류독감 계란 공급난에... 맥도날드 호주점 조식시간 단축
- CNBC 조사 결과, 일본은행 이번 주에 금리를 인상 예상
- 일본은행, 정책 금리 동결… 트럼프 관세 영향 평가 중
최진승
jschoi@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