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초 이후 관광업 호황 덕분에 바트화 가치 반등
이번 주 중앙은행의 정책회의를 앞두고 태국의 최근 정치 상황 반영 가능성
장기적인 구조적 성장 장애로 볼 때 중성금리가 낮아질 위험이 있어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어

19일 블룸버그통신 홈페이지에 따르면 태국은 이번 주 중앙은행의 정책회의를 앞두고 태국의 최근 정치 상황을 소화하면서 최근 바트화의 상승세를 위협받고 있다.
바트화가 지난 5월 미국 달러화에 대해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뒤 7월 초 이후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좋은 통화 중 하나로 부상한 것은 관광업이 반등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치적 불안정을 겪으면서 바트화의 회복세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농업신용투자은행 홍콩지점의 제프리 장 신흥시장 전략가는 "바트화 약세 전망을 유지하고 있다"며 "연말까지 달러당 36바트까지 떨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태국의 경제성장은 여전히 추세 수준으로 돌아가기 어려울 수 있고, 장기적인 구조적 성장 장애로 볼 때 중성금리가 낮아질 위험이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현재 딜러들은 태국 중앙은행이 이번 주 발표할 정책 결정에 관심을 돌리고 있으며, 이 중앙은행은 금리를 2.5%로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준이 9월에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예상을 시장이 소화하면서 태국과 미국의 금리 차가 좁혀지고 있어 바트화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태국 중앙은행이 가만히 있어도 바트화의 정치적 불안감을 단기간에 막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싱가포르은행 선무샹 외환전략가는 "최근 강한 상승세를 경험한 바트화의 추가 강세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 미국 대선은 특히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달러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 튀르키예, 에너지 안보를 강화 위해... 아프리카 영향력 확대 모색
- 인도 정부, 중국 관련 '투자 검증팀' 가동
- 美 젊은 세대들, 절반 이상이 생필품과 식료품 구매 시 대용량 제품 구매
- 필리핀, 국내 항공료 인하 조치
- UAE와 중국, 2분기 사우디 비석유 수출 견인
- 동남아 국가 브릭스 급물살
- 태국 정부, 경제 부양책 발표... 3% 경제성장을 달성 위해
- 태국 중앙은행, 바트화 환율 개입
- 태국, 엘니뇨 현상과 인도의 쌀 수출 제한령 여파로 올 2분기 쌀값 인상 전망
- 태국 바트화, 아시아에서 하락세가 가장 강한 화폐 중 하나
- 태국 쌀값 17년 만에 최고치
- 동남아 국가, 자국 통화 약세... 인플레 우려로 금리 인상 조짐이 일어
- 태국, 달러에 대한 위험을 낮추기 위해 위안화의 사용을 촉진
- [월드e] 쌀 수출은 베트남 대외무역의 새로운 포인트로 부상
- 태국·중국, 자국 통화 결제 확대... '달러 위험'을 회피
- 태국 중앙은행 금리 인상 전망
- [중국망] 中국경의 리오프닝, 아시아 시장에 많은 이익 제공
- 태국, 올해 목표 3.4% 성장률 달성... 내년 경제는 3.8% 성장 불가 전망
- 필리핀 페소화 약세... 중앙은행, 외환 투기 우려
- 태국, 올해 쌀 수출 750만 t 전망... 전년 대비 54% 증가
- 관광 증가에 힘입어… 태국 바트화 빠르게 반등
- 태국, 세계 제2의 쌀 수출국으로 부상전망... 연 700만톤 상회
- [컬쳐e] 태국, 관광 회복추세... 2022년 3.1% 성장 전망
- 태국, 지난달 인플레율 7.1%증가... 14년 만에 최고치
- 태국, 경기회복 프로그램 가동... 소기업 지원·생활비 절감
- 트럼프 당선 후 중국산 고관세 부과예상... 유럽경제에 오히려 得
- 태국 관광 회복세…올해 10월까지 2900만 명 넘는 관광객 유치
- 싱가포르 벤처 투자 시장, 2024년 거래 감소에도 활발한 활동 지속
- 2025년 관광산업 전망: 다변화와 변화의 물결
- 태국 경제, 금년 3분기부터 안정세를 보일 것
- 프랑스의 정치 위기로 정부가 축출
- 태국, 2025년 BRICS 파트너국으로 합류
- 아시아 통화 평가절하 추세 완화… 금리 인하 가능성 확대
여불휘 기자
bh.Yeo@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