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제조업 '공급망 확대'차원에서 여러 건의 중국회중소기 투자 허가
인도와 육지 경계를 공유하는 국가의 외국인 직접 투자는 사전에 정부의 승인 요구
적절한 안전장치를 통해 중국 투자개방을 더디게

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타임스오브인디아닷컴은 22일 소식통에 따르면 인도 정부의 한 부처 간 패널이 여러 건의 전자제조업 투자 제안을 승인했으며, 이 중 일부는 전적으로 중국 회사들의 제안이라고 밝혔다.

보도에 따르면 인도 전자제조업은 인도 공급망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중국과 연계한 투자 승인을 요청했다. 이 같은 압박이 거세지는 시점에 비준된 것이다.

지금까지 두 차례의 부처 간 패널 회의가 열렸고, 서로 다른 산업의 여러 제안이 승인되었으며, 대부분이 전자 산업에 관련되었다.

인도 기업들은 중국과의 무역관계, 특히 '고시 3호'에 대한 재검토를 추진해 왔다. 

인도 산업 및 국내 무역 진흥국은 2020년 외국인 직접 투자 정책을 개정하여 '고시 3호'를 통해 인도와 육지 경계를 공유하는 국가의 외국인 직접 투자는 사전에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전자제조업의 자급자족을 위해서는 현지 부가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판단에 따라 적절한 안전장치를 통해 중국 투자개방을 더디게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인도 정부는 특정 기준에 맞는 중국 기업이 인도에서 경영하거나 인도 기업과 합작하는 투자 제안을 승인하는 부처 간 팀을 만들겠다고 업계에 알렸다는 보도가 나왔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계획은 실행되었고 두 차례의 회의가 열렸다. 

한 당국자는 "이 부처 간 패널은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어 상황을 점검하고 철저한 조사를 거쳐 제안을 승인한다"고 말했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