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2022년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성장율'을 기록할 전망
인도 정부가 백신 생산 업체에 대한 보조금 지급 영향

국제통화기금(IMF)가 인도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원래 추정치로 높게 예측했다.
IMF는 “코로나19 대유행 속 보건과 공급 차질 및 물가 압력 중 경제회복”이라는 제목의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WEO)에서 세계경제 전망치를 기존보다 10 베이시스 포인트 정도 하향 조정하였지만 , "인도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9.5%로 유지하였다"고 15일(현지시간) 비지니스 스탠다드지가 보도했다.
IMF의 보고서 발표 이전, 인도 준비은행의 기관인 통화정책위원회(MPC)와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는 인도의 22년 회계연도 성장률 전망치를 9.5%로 동결한 바 있다. 세계은행은 2021~2022년 인도의 경제성장 전망치를 8.3%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국제 신용 편가기관 피치 그룹 (Fitch Ratings)는 코로나 바이러스 영향을 고려하여 당초 전망치였던 10%를 8.7%로 낮추었다.
이번에 발표된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에 의하면 인도는 22년과 23년 회계연도에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가능한 ‘거대 경제’가 될 전망이다.
또한 IMF는 세계 경제 전망 보고서 (WEO)를 통하여 인도의 내년 국내총생산 (GDP) 추정치를 올해 7월 전망치와 변동이 없는 8.5%로 동결하였다.
IMF는 또한 인도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작년 집계 6.2%에서 올해 5.6%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엔 더 떨어진 4.9%로 전망했다. 지난주 정책 검토에서 인도 준비은행 통화정책위원회(MPC)는 인도 소매 물가상승률 예상치를 당초 5.7%에서 5.3%으로 줄여서 전망했다.
인도 경상수지의 관하여 IMF는 작년 0.9% 흑자에 비해 올해 인도 국내총생산의 1%의 달하는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2022년 적자 폭은 1.4%로 더 확대될 것으로 예측했다.
중국과 인도를 제외한 아시아의 전반적 경제성장 전망치는 코로나19 대유행이 확산됨에 따라 "약간 하향 조정되었다"고 IMF는 발표했다.
끝으로 IMF는 보고서에서 "인도 정부의 백신 생산업체에 지급된 보조금이 인도 코로나 백신 개발 장려 및 보급하는데 주효했다"고 평가하였다. 이러한 조치가 결국 내년 인도 경제성장율을 9.5%로 동결 시키는데 주요한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기사
- 홍콩, 올 1-9월 방문객 약 6만3000명... 전년동기 대비 98.2%나 감소
- [통상이슈] 국제유가, 공급 부족 우려에 3년 만에 최고치
- 日 중앙은행, 간단한 ‘디지털 엔화’ 설계 모색
- [월드e] IMF, 아세안 5개국 가운데 베트남 올해 가장 높은 성장 전망
- 이집트 '살라', '아프리카 전설' 드록바 넘는 "대 기록" 눈앞에
- 인도, '인구 보너스' 혜택 "한계 있다"
- 구매력 평가로 계산시, 브릭스 국가의 경제 총량은 이미 G7 초월
- 아세안-영국, 합작 결제 시스템 개발... "실시간 결제" 강화
- [비전 인사이트] 中 역대 최저 GDP성장률 목표 5%...어떻게 볼까
- 인니 중앙은행 총재, 올해 경제성장률 5% 이상 전망
- 중국ㆍ호주 양국 관계 회복... 호주행 중국 유학생 증가
- 아세안 주요 5개국, 2023년 4.3% 성장 전망
- 인도네시아, 전기차 한 대당 최대 700만원 보조금 제공
- 美 골드만삭스 “ 中 GDP, 2035년 미국 추월” 전망
- 말레이시아, 올해 경제 성장률 아세안의 선두 유지
- 골드만삭스, 중국 경제 내년에 가속화 전망... 내년 3분기 10% 예측
- 모건스탠리, 인도는 2027년 세계 3위 경제대국 부상 예측
- 인도, 미·중 대립 틈타 반도체 키워야
- 인도, 올 경제성장률 7% 전망... 경제규모 세계 5위 등극, 영국 앞질러
- 부동산원, ‘세계은행 국제입찰사업’ 수주
- [월드e] 중국 3분기 부터 경기 호전 예상... 경기 부양책 효과 나타날 듯
- 일본, 기업의 아프리카서 창업 지원... '자원외교' 강화
- 조코 인도네시아 대통령, "인도네시아, 내년 경제 최악의 해 될 수도"
- 아시아개발은행, 아시아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 전망 하향 조정
- [Inside] 디지털 경제 보고서 "동남아시아 황금 10년"... 연 평균 31% 성장 전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