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정부가 경기 부양과 국민 소비 촉진을 위해 약 15억 달러(약 19억 싱가포르 달러) 규모의 경제 부양책을 도입했다. 이번 조치는 6월 5일부터 발효되며, 특히 6월 말부터 7월까지 이어지는 학교 방학 기간 동안 소비 확대와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다.
이번 부양책에는 기차표, 항공권, 페리 승선권 할인과 함께 도로 통행료 보조가 포함되어 있으며, 관광지 입장권 할인 및 프로모션도 추진된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와 함께 1,830만 가구에 사회 지원을 제공하고, 1,730만 명의 저소득 근로자와 약 56만 명의 교사에게 급여 보조금을 지급할 계획이다. 실업 보험료 감면 등도 포함된 이번 정책은 국민의 구매력을 높이고 내수 중심의 성장을 견인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스리 무옌니 재무장관은 6월 2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부의 여러 계획이 이번 경제 부양책을 통해 가속화될 것이며, 올해 2분기에도 약 5%의 경제 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인도네시아는 올해 1분기 전년 대비 4.87% 성장해 3년 만에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한 바 있다.
관광부 역시 교통비 할인과 지역 행사 개최가 지방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국내 관광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할인 및 캠페인을 병행할 예정이다. 정부는 약 1억 1,000만 명의 운전자에게 고속도로 통행료의 20%를 할인해주는 방안을 발표했으며, 그 비용은 약 6,500억 루피아(약 5,120만 싱가포르 달러)로 추산된다.
하지만 일부 정책 항목, 특히 도로 통행료 및 실업 보험료 할인은 정부 예산이 아닌 민간이 부담하도록 되어 있어 논란도 일고 있다. 인도네시아 유료 도로 협회 사무총장 크리스는 “정부가 민간 도로 운영사에 자발적인 할인과 비용 부담을 요구하고 있지만, 논의 과정에서 사업자가 배제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샤프루딘 카리미 안달라스 대학교 경제학자는 “정부가 분명한 보상 체계를 제시하지 않는 상황에서 민간에 부담을 전가하는 것은 민관 협력 기반의 투자 환경에 부정적 신호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이러한 방식이 인프라 투자 유인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경제 부양책은 인도네시아가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내수 소비를 강화하며 성장 모멘텀을 유지하려는 시도지만, 비용 부담의 공정성 문제와 민간의 협조를 얻는 데에는 추가적인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관련기사
- 베트남, 두 자녀 출산 제한 정책 공식 철회…저출산 대응 본격화
- 일본 출생아 수 사상 최저치 기록…출산율도 역대 최저로 하락
- 불가리아, 유로존 21번째 회원국 전망
- 홍콩 영화관 줄폐업…‘동양의 할리우드’ 명성 흔들
- 서남태평양, 기록적 폭염에 해양 생태계 위기…열대 빙하도 소멸 위기
-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중국 시진핑주석 전화 통화
- 인도네시아, 발리·라부안바조를 의료관광 거점으로 육성
- 트럼프 관세 정책, EU-아세안 자유무역협정 재개 움직임 촉진
- EU, 트럼프 관세에 맞서 아시아와 자유무역 협상 가속화
- 인도네시아, 1분기 성장률 3년 만에 최저
- 작년 ADB 지원 수혜국 중 최상위 국은 인도
- 인도네시아, 2025년까지 전력 생산 2GW 증설 추진
- 태국, 청정 에너지 중심지로 부상
- 인도네시아, 소규모 기업 대상 무료 할랄 인증 ‘Sehati’ 계획 시행
- 인도네시아 팜유 업계, 美 관세 위기 속 시장 다변화 모색
- 인도네시아 부호들, 경제 불안 우려 속 자산 해외 이전 가속화
- 사상 최저치 기록한 인도네시아 루피아… 중앙은행 “시장 전방위 개입으로 환율 안정 나설 것”
- 엔씨소프트 ‘리니지2M', 5월 중 동남아시아 6개국에 출시
- 미국 상호 관세 정책, 동남아 경제에 먹구름
- 트럼프, 대만 포함 각국에 ‘상호 관세’ 부과
- [경제IN] 트럼프 發 '관세폭탄', 적절한 대응과 보수적 접근이 절실
- 미얀마 지진 여파, 글로벌 주석 시장 흔들다
- 인도네시아, 브릭스 신개발은행 회원국 가입 결정
- 인도네시아, 대학을 혁신과 연구 중심으로 육성…2조 루피아 투자
- 동남아시아, 탄소세 도입 가속화... 국제 경쟁력 강화 목표
- 인도네시아,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산업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