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발 관세 적용으로 무역전쟁이 촉발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공표하면서 직접 설명했다.
국가별 상호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한국에는 25%의 관세가 적용된다. 영국에는 10%의 기본관세가 부과된다.
태국은 관세율이 36%이고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가 적용된다.
워싱턴포스트(WP)는 "미국인들이 관세에 대비해 지출을 줄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CNN 방송은 "소비자 지출은 미국 경제 활동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다"며 "이 엔진이 멈추면 경제적 여파가 급속도로 확산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에도 부담이 커질 전망이다. 올해 전망치 1%대에서 다시 0%대 성장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국 달러 대비 원화 환율도 1500원 선을 다시 위협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발 관세폭탄 리스크가 커서 보수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으로 정부 차원의 적시적인 대응과 종합대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관련기사
- 세계 억만장자 보유 1위국은 미국
- EU, 애플·메타버스 플랫폼에 첫 '디지털시장법' 벌금 부과 임박
- 태국, 대미 무역 흑자 축소 위해 미국산 수입 확대 추진
- 트럼프, 대만 포함 각국에 ‘상호 관세’ 부과
- 미국 부유층, 스위스로 자산 이동 가속화…탈미국화 흐름 본격화
- EU, 미국산 950억 유로 제품에 보복 관세 경고
- 인도, 일본 제치고 세계 4위 경제 대국으로 도약
- 인도네시아, 15억 달러 규모 소비 진작책 발표…2분기 5% 성장 목표
- 미국 1분기 GDP -0.5% 하락…트럼프 무역전쟁 여파 본격화
- 스위스 중앙은행, 기준금리 제로로 인하
이창우 기자
cwlee@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