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우려 속 통화완화 유지

2025년 6월 19일, 스위스 중앙은행(SNB)은 기준금리를 25bp(0.25%포인트) 인하하며 사실상 금리를 제로 수준까지 낮췄다. 이는 스위스가 마이너스 금리 시대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미 이번 금리 인하를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 거래자들은 25bp 인하 가능성을 81%로, 보다 급격한 50bp 인하 가능성도 19% 수준으로 점쳤다.
스위스 중앙은행은 성명을 통해 “지난 분기보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감소했다”며, 이러한 추세에 대응해 통화정책을 완화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상황 전개를 계속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필요시 정책을 조정해 중기적으로 인플레이션 변동성을 억제하고 물가안정을 유지하겠다”고 덧붙였다.
현재 대부분 국가가 인플레이션과의 싸움을 이어가는 가운데, 스위스는 오히려 디플레이션에 직면해 있다. 지난 5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해 마이너스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
슐레겔 SNB 총재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현재의 마이너스 인플레이션은 금리 인하의 직접적인 이유는 아니다”며 “우리는 중기적인 경제 흐름에 집중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단기적 수치 변동보다는 거시적 추세에 더 의미를 둔다고 설명했다.
SNB는 금리 결정과 함께 2025년 인플레이션 전망치를 0.2%로, 2026년은 0.5%로 하향 조정했다. 경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으며, ‘해외 상황의 전개’가 주요 리스크로 지목되었다.
스위스는 과거에도 여러 차례 디플레이션을 겪은 바 있다. 특히 자국 통화인 스위스 프랑의 강세는 저인플레이션의 핵심 요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ING의 샬럿 드 몽펠리에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시장 불안이 커질수록 스위스 프랑은 안전자산으로서 절상되는 경향이 있다”며 “이로 인해 수입물가가 하락하고, 소비자물가 전반에 압력을 가한다”고 분석했다.
스위스는 경제 규모가 작고 개방도가 높아 수입품이 소비자물가지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특성이 있다. 이에 따라 중앙은행은 스위스 프랑의 평가절상 흐름을 억제하고자 다른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금리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여왔다.
이번 금리 인하 발표 직후에도 스위스 프랑은 즉각 평가절상되는 모습을 보였다. 슐레겔 총재는 향후 금리 방향에 대해 “예측하기 어렵다”며, 중앙은행은 오는 9월에 다음 통화정책 결정을 내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일본제철, 미국 철강 전격 인수…트럼프 ‘황금주’ 조건 수용
- 미국, 중국 기술 추격에 경계…“AI·반도체 수출 통제 유지해야”
- 미국, 외국인 학생 비자 재개…소셜 미디어 검열 대폭 강화
- 중국, 미국 국채 보유 16년 만에 최저…무역전쟁 속 '달러 무기화' 경고
- 이스라엘-이란 충돌 격화…시장, 미국 개입 여부에 촉각
- [기고] '인과응보(因果應報)', 정치지도자가 유념해야 할 사자성어
- 독일, ‘6310억 유로 투자 이니셔티브’로 경제 재도약 노린다
- 유로화 강세, 유럽경제 양날의 검… ECB 금리인하 가능성 커져
- 유럽 부자들, ‘출국세’ 장벽에 조세 피난처 이주 난항
- 중동 긴장 고조에 따른 유럽 경제 파장…에너지·물가·통화정책 전방위 압박
- 미 재무부, 중국 환율조작국 지정 안 해…관찰 대상국에는 포함
- 비트코인, 사상 최고치 경신…무역 전쟁 완화와 규제 기대감이 상승세 견인
- 미중, 90일 간 관세 인하 합의…아시아 시장 반등, 달러 신뢰 시험대
- EU, 트럼프 관세에 맞서 아시아와 자유무역 협상 가속화
- "미국 제조업 회생 장애물…中 기계·부품 의존도 극복 어려워"
- 미국 부유층, 스위스로 자산 이동 가속화…탈미국화 흐름 본격화
- 인도 버니하트, 세계 최악 대기오염 지역…주민 건강 위기
-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 미국 소비자와 글로벌 공급망에 직격탄
- 머스크, 세계 최고 부자 재등극
- [경제IN] 트럼프 發 '관세폭탄', 적절한 대응과 보수적 접근이 절실
- IFRC, 미얀마 지진 피해자 지원 위해 1억 달러 긴급 모금 요청
- 스위스,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대국으로 도약
- 전 세계 대기오염 심각… 최악의 20개 도시 중 19곳이 아시아
- 미국 블랙록, 190억 달러 투자로 파나마 운하 항구 '미국화' 추진
- 유럽중앙은행 결제 시스템 마비…은행 간 거래 차질 발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