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미국 정부가 외국인 학생에 대한 비자 신청 절차를 재개하면서, 신청자의 소셜 미디어 계정에 대한 검열을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 6월 18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는 재외공관에 외국인 학생 비자 신청 접수를 재개할 것을 공식 통보하며, 신청자에 대한 심사를 "전면적이고 철저하게" 진행하라는 새로운 지침을 하달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5월 말 각국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에 국제 학생 비자 면담 예약을 일시 중단하도록 요청한 지 몇 주 만에 이루어졌다. 국무부의 새 방침에 따라, 비자 심사 과정에서는 신청자의 소셜 미디어 활동이 핵심적으로 평가된다. 특히 미국 정부는 신청자의 계정을 통해 ‘미국에 적대적인 태도, 테러리스트 지지, 반유대 폭력행위’와 관련된 행적이 있는지를 확인할 방침이다.

재외공관에 전달된 지침에 따르면, 영사관은 학생 비자 신청자의 온라인 게시물 중 미국 정부와 제도에 비판적이거나 이견을 제시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검토하며, 관련 증거를 스크린샷으로 보존해 삭제를 방지할 예정이다. 또, 비자 신청자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계정을 공개 상태로 설정해야 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심사를 회피하거나 정보를 숨기려는 의도로 간주돼 비자 발급이 거부될 수 있다.

심사 대상은 개인의 게시물뿐 아니라 그와 연결된 온라인 네트워크 전체로 확대된다. 영사관은 구글 등 검색 엔진을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자원을 활용해 신청자와 관련된 부정적 정보를 포괄적으로 탐색할 예정이다. 예컨대, 하마스를 지지하거나 해당 활동에 연루된 정황이 확인될 경우 비자 발급이 즉시 거절될 수 있다.

미 국무부 고위 관계자는 "강화된 검열을 통해 모든 입국 시도자가 철저히 검토될 수 있다"고 밝히며, 소셜 미디어가 비자 심사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했다.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이미 수백 명에서 수천 명에 달하는 외국인 학생의 비자가 취소됐으며, 이는 대부분 팔레스타인 지지 발언이나 미국 외교 정책을 비판한 행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국무부는 비자 신청 재개에 따라 대면 면담 예약이 제한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교류 비자를 신청한 외국인 의사와 해외 학생 비율이 15% 미만인 미국 대학 입학생을 우선 심사 대상으로 지정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재집권 후 하버드대, 컬럼비아대 등 미국 주요 대학의 반유대주의 논란과 다양성·형평성·포용(DEI) 정책을 집중 비판하며 보수적 개편에 나선 배경과도 맞물린다는 해석이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