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재무부가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지 않기로 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처음 발표된 반기 환율 보고서에서 나온 결정으로, 중국과의 무역 관계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6월 5일(현지시간) AP통신과 러시아 스푸트니크 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는 의회에 제출한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 거시경제 및 외환 정책’ 보고서에서 중국을 포함한 어떤 국가도 공식적인 환율조작국으로 분류하지 않았다.
과거 미국은 2019년 트럼프 행정부 당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는 1994년 이후 처음 있는 조치로, 미중 간 무역갈등이 고조되는 상황 속에서 단행된 결정이었다.
이번 보고서에서 미국 재무부는 중국뿐 아니라 대만, 일본, 한국, 싱가포르,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스위스를 '관찰 목록'에 올렸다. 특히 아일랜드와 스위스는 새롭게 리스트에 추가되었으며, 해당 국가들은 향후 환율 정책에 대해 지속적인 감시 대상이 될 예정이다.
중국 외교부는 이에 대해 “중국은 애초부터 환율조작국이 아니며, 경쟁적인 평가절하를 통해 무역에서 이득을 보려 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은 외부 요인에 흔들리지 않고 환율을 무역 분쟁의 도구로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번 발표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 유연한 입장을 보이는 가운데, 외환 문제를 지나치게 정치화하지 않겠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환율 정책을 둘러싼 미중 간 긴장 완화가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차승민 기자 smcha@nvp.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