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네시아 정부가 대학을 혁신과 연구 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해 적극적인 투자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Vietnam+의 보도에 따르면, 브라이언 율리아토 인도네시아 고등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자국 정부가 대학을 국가 산업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여 자주적인 산업을 구축할 것을 강조했다.
인도네시아 대통령 프라보보 수비안토를 비롯해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서 온 수백 명의 총장이 참석한 행사에서, 브라이언 율리아토 장관은 연구 개발을 위해 2조 인도네시아 루피아(약 1억 1,700만 달러)를 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인도네시아 대학이 혁신 허브로 거듭나고 고품질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인도네시아는 이를 통해 중등 소득 함정을 극복하고 선진국과 경쟁할 수 있는 국가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연구 기금 배정 외에도 박사 학위를 보유한 교직원의 비율을 늘려 교수진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현재 인도네시아에는 4,416개의 대학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125개가 국립대학, 2,812개가 사립대학, 1,309개가 종교대학, 170개가 지역 고등교육 서비스 기관이다.
현재 대학 재학생 수는 거의 1,000만 명에 달하며, 전국적으로 303,067명의 교직원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교직원의 25%만이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어, 정부는 이를 증가시키는 것을 최우선 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올해 국가 최고 인재 양성 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가루다 학교’ 프로젝트를 4개 지역에서 시작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엘리트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인도네시아의 인적 자원 개발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정부는 고등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100만 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15,430억 인도네시아 루피아 규모의 장학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 계층의 학생들이 고등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보장하며, 교육의 평등성과 접근성을 강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번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은 대학의 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으로 활용하려는 전략적 접근 방식으로, 향후 인도네시아가 글로벌 혁신 국가로 도약하는 데 중요한 기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 페루 아마존 이탄지, 금광 채굴로 심각한 파괴 진행
- 반도체 시장,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으로 역대 최고 실적 기록
- 동아제약, 잇몸 보호 기능 강화한 ‘검가드 검프로텍터 칫솔’ 출시
- 미국 '경제 중추' 소비 둔화... 계란ㆍ쇠고기 파동
- [기고] 흐르는 시간에게 배운 지혜
- BIC 주관 할랄 인증 설명회 개최... 대응 전략 논의
- 부산인도네시아센터, 인도네시아 정부 할랄청 '공식 할랄인증기관'으로 지정 받아
- 베트남 게임 산업, 매출 10억 달러 목표 달성 노력
- [월드e] 필리핀, 동남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행복한 나라로 선정
- 최기일 상지대 교수, 인니 아체왕국 명예귀족증 수여
- 스포츠닥터스, 필리핀 국제의료봉사 의료진·자원 봉사자·연예인 모집. (국내외 의료지원 5800회)
- 호주 매체, "동남아시아서 현재 전기차 혁명 中“ 보도
- 배우 이승연, 스포츠닥터스 홍보대사 위촉
- 배우 박선영, 스포츠닥터스 홍보대사 위촉
- 사이버한국외대 ‘KF 글로벌 e-스쿨’ 한국어 교육 사업, 베트남 휴텍대·인도 네루대 등 신규 참여
- 인도네시아, 핵심 광물 하류산업 노려 '일석다조(一石多鳥)'
- [기고] 이 시대의 진정한 의인, 밀알 심장재단 이정재 회장
- [기고] 한국, 자원전쟁에서 "닭"이 될 위험성을 조심하라
- [기고] 헨리 시 외 2개 필리핀 가족기업, 세계에서 가장 부유한 '500대 가족기업' 진입
- '2023 중앙아시아 영화제' 거행,중앙아시아에 대한 이해증진에 기여
- 새마을재단, 인도네시아‧베트남 ‘기업지원형 새마을사업’ 실시
- [기고]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의 대한민국 한글채택
- 유완영 KT글로벌 러시아 고문을 세계어린이태권도연맹 국제교류협력위원장으로 임명
- 인도네시아, 1분기 성장률 3년 만에 최저
- 인도네시아, 15억 달러 규모 소비 진작책 발표…2분기 5% 성장 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