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시스 제공.
사진=뉴시스 제공.

캐나다의 4월 실업률이 6.9%로 상승해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가 캐나다의 수출 의존형 경제에 본격적인 충격을 주기 시작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로이터통신이 5월 9일 전한 바에 따르면, 캐나다 통계청은 현재 실업자 수가 약 160만 명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월 철강과 알루미늄, 4월에는 자동차 등 캐나다 주요 수출품에 대해 잇따라 관세를 부과한 것이 제조업 일자리 감소를 유발하며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4월 전체 고용 인원은 큰 변동 없이 7,400개의 일자리가 순증가했지만, 실업자는 3만2,600명에 달했다. 로이터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인 취업자 수 2,500명 증가, 실업률 6.8%를 상회하는 결과다.

통계청은 특히 제조업에서만 3만1,000개의 일자리가 사라졌고, 소매 및 도매업 부문도 고용이 줄었다고 밝혔다. 또한 3월에 실직한 근로자의 61%가 4월에도 여전히 실직 상태였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4%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는 구직 환경이 더욱 악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캐나다 중앙은행은 이 같은 고용 시장의 악화와 수출 둔화, 물가 상승, 해고 확대가 향후 경제 성장에 심대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하면서, 필요 시 적극적인 대응 조치를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임페리얼 뱅크 오브 캐나다의 자본시장 수석 이코노미스트 알리 재프리는 “무역전쟁 전부터 고용시장이 불안정했지만, 지금은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며 “이번 고용 통계는 중앙은행이 6월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지지한다”고 평가했다.

캐나다의 제조업 기반 경제가 미국발 관세 압박에 의해 흔들리는 가운데, 향후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정부의 대응책이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비전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